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개구리문(7840)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개구리문(7840)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3-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개구리는 알에서 올챙이로 변신했다가 다시 꼬리가 없어지면서 온전한 개구리가 되는 생태적 특성 때문에 예로부터 상서로운 동물로 여겨 왔다. 개구리는 왕권(?權)과 관련해서는 신성(神聖)을 상징한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는 “부여왕 해부루(解?婁)가 산천에 치성하여 곤연(鯤?)에서 바위를 들쳐 금빛 개구리 모양의 어린애를 얻었는데‚ 그 아이가 자라서 후일의 금와왕(金蛙?)이 되었다.”라고 하여 개구리를 신성시하였다. 왕권의 후계자를 금빛 개구리로 상징화한 것은 금빛의 신성함과 개구리의 다산(太産)이라는 생물학적 특성의 결합을 통해 왕권의 신성함과 왕족의 흥성을 기원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신라의 선덕여왕 때 영묘사(靈廟寺)의 옥문지(?門池)에서 개구리가 3~4일 동안 울었는데‚ 왕이 이를 보고 급히 군사를 여근곡(女根哭)에 보내어 잠복하고 있던 백제의 군사를 토멸하였다.”라 하였는데 이는 당시 사람들이 개구리를 예언적 능력을 지닌 신령스런 동물로 여겼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미술품에 나타난 개구리는 조선시대 민화나 연적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문인들이 애용하던 문방구의 하나인 연적을 개구리 형태로 만들었던 것은 학문적인 성취를 기원하기 위한 의도라 보이는데 이는 움츠렸다가 멀리 뛰는 개구리의 행동양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민속에서는 ‘개구리가 집에 들어오면 복이 들어온다’고 믿었는데 이는 우리민족이 개구리를 재복신(財福神)으로 여겼던 좋은 예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s://www.kcisa.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