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동래부에 도착한 일본 사신 맞이

추천0 조회수 5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동래부에 도착한 일본 사신 맞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9-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임진왜란으로 단절된 한?일관계는 1609년 6월에 체결한 기유약조(己酉約條)으로 다시 회복되었으나‚ 이 때부터 조선에 오는 일본 사절단 일행은 이전처럼 상경하여 왕을 배알하지 못하고 초량왜관에서 왕의 전패(殿牌: ′전′자를 새겨 세운 나무패)에 나아가 절을 하는 것으로 대신하게 되었다. 이 열 폭 병풍은 조선에 온 일본 사절을 대접하기 위하여 동래부사가 초량의 왜관으로 길을 나서는 장면과 왜관 객사에서 사절 일행이 절하는 광경 등을 시간적 구성에 따라 면을 나누어 그린 것이다. 즉 첫째 폭에서 일곱째 폭까지는 윤산(輪山) 아래 자리한 동래성으로부터 동래부사가 관원들을 앞세우고 초량왜관 설문(設門)으로 들어가는 행렬 장면을 묘사하였고‚ 여덟째 폭은 일본사절이 초량객사(草梁客舍) 뜰 아래에서 왕의 전패에 예를 올리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아홉째 폭에는 조선 역관(譯官: 통역을 맡아보는 관리)들의 숙소인 성신당(誠信堂)과 빈일헌(賓日軒)이 그려져 있으며‚ 마지막 열째 폭은 연향대청(宴享?廳)에서의 연회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전체적인 그림의 시점은 부감법(俯瞰法)에 따라 정면 위에서 내려다보는 구도를 취하고 있으며 산과 주요 건물‚ 지명 등이 쓰여져 있어 당시 동래지역의 지도를 보는 듯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화풍상으로 볼 때 붓을 옆으로 뉘어서 찍는 미점(米點)에 의한 산의 처리‚ 언덕에 적묵법(積墨法: 옅은 먹을 바르고 그 위에 농도가 다른 먹을 덧칠하는 방법)을 사용한 점‚ 소나무와 활엽수를 그린 나무의 표현법 등에서 조선 후기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의 화풍을 반영하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