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묵향 가득한 문인화로의 초대

추천0 조회수 346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묵향 가득한 문인화로의 초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09-04-22
분류(장르)
어문
요약정보
한국문인화의 방향전 … 4.23~5.5일까지 문예회관서 개최
우리나라 대표적인 문인화가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문인화의 경향과 현주소를 가늠해 볼 수 있는 ‘한국 문인화의 방향전’이 개최된다.
울산문화예술회관(관장 권혁진)은 봄빛 충만한 계절을 맞이해 오는 4월 23일부터 5월 5일까지 13일간 문화예술회관 제1‚ 2‚ 3전시장에서 ‘한국 문인화의 방향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문화예술회관의 초청기획으로 마련된 이번 전시는 문인화가들에게 문인화의 전통 계승과 현대적인 재해석 사이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대외적으로는 문인화에 대한 이해와 저변 확대를 위해 마련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치운 강종원‚ 소석 구지회‚ 외산 김기봉 등 우리나라 중진 이상의 문인화 작가들로 구성된 한국문인화연구회 작가 70명이 한국 문인화의 정체성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하고 연구하는 과정 속에서 탄생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문화예술회관 권혁진 관장은 “녹음이 충만해 지는 계절‚ 전시장을 찾는 시민들이 잠시나마 가슴 가득히 묵향을 머금고 조용히 자신을 성찰하는 여유를 만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인화란‚ 직업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전문 화원이 아니라 인격이 고매하고 학문이 깊은 선비나 사대부가 여흥으로 수묵과 담채를 사용하여 그린 그림으로 중국 북송시대부터 유래 되었다.
서화나 서예‚ 인물화‚ 묵죽화‚ 말 그림 등 주제에 구애받지 않지만 직업적으로 그린 그림과는 기교면이나 담고 있는 정신에서 분명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들의 그림과 구별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라 할 수 있다.
문인화는 중국 북송시대부터 유래하여 사인지화(士人之畵) 혹은 사대부화(士??畵)‚ 문인지화(文人之畵)로 불렸으며 원말 수묵 산수화양식의 전형이 완성 되었다.
수묵산수화 외에는 문인들의 행동양식이나 의식과 잘 어울리는 매난국죽(梅蘭菊竹)의 사군자(四君子)가 크게 유행 하였다.
중국의 대표적인 문인화가로는 당나라의 시인이며 그림에 능했던 왕유‚
원말 수묵산수화의 전형을 완성한 4대가 황공망‚ 왕몽‚ 예찬‚ 오진 등을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 북송시대의 경향이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이제현‚ 김부식 등에 영향을 주었으며‚ 조선 전기 문인화가로는 강희안을 들 수 있다.
그는 많은 작품을 남겼으나 화가로 이름이 남는 것을 꺼려 자손들에게 자신의 그림을 소각 하도록 할 정도로 당시에는 문인화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이 확산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문인화가 본격적으로 수용되고 유행했던 때는 17세기 이후부터로 강세황‚ 이인상‚ 심사정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며‚ 문인화의 화풍을 절정에 올린 인물은 추사 김정희이다.
본질적으로 시(詩)ㆍ서(書)ㆍ화(畵)가 조화를 이루는 문인화는 실경의 기교를 추구 하는 것이 아니라 재현하는 형상 그 너머에 있는 정신과 뜻을 담고자 한다.
따라서 자연을 담되 시를 짓는 정성과 글을 쓰는 정갈한 마음으로 산수‚ 화조‚ 사군자 등을 담아낸다.
화폭에 수묵으로 펼쳐진 세계에는 선비들이 추구했던 탈속의 담백한 서정과 운치‚ 대쪽같은 절의와 기개‚ 낭만과 유연함‚ 조화와 풍요‚ 여유로움‚ 그리고 해학이 공존하는 예술인 것이다.
오늘날 문인 혹은 사대부‚ 선비의 개념은 사라졌지만 옛 선비들이 문인화속에 담고자 했던 정신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한 덕목들이다.
선비들이 추구한 굳은 절의와 기개‚ 유연함과 여유로움은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를 바로 세울 수 있는 지침이 될 것이다. 끝.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ulsan.go.kr
분류(장르)
어문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