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5대 궁궐 및 종묘 건축물의 이미지 데이터
- 데이터 유형
- : 이미지
- 데이터 건수
- : 59,376건
메타테이블 정보
데이터 정보 | 데이터 유형 | 구축 원천데이터량 | 원천데이터 형식 | |
2D 이미지 및 메타데이터 | 59,376 | JPG, JSON | ||
구축 기관 | 데이터 구축년도 | 구축기관(총괄) | 수집기관 | 검수기관 |
2024년 | ㈜비큐에이아이 | ㈜굿게이트 | ㈜비큐에이아이 ㈜굿게이트 ㈜STA테스팅컨설팅 | |
데이터 문의처 | 기관명 | 문의 담당자명 | 전화번호 | 메일주소 |
㈜비큐에이아이 | 이준택 | - | ljt@becuai.com | |
데이터 소개 | 조선의 5대 궁궐 및 종묘 건축물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및 정제하여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와 이미지와 매칭되는 텍스트 데이터로 데이터셋 | |||
주요키워드 | 인공지능, AI, 학습, 데이터, 조선 궁궐, 종묘, 한국 2D 이미지 콘텐츠 |
데이터 구축 목적
항목 | 필요성 | 구축 내용 |
한국적 콘텐츠 수요 증가 | - 현재 이미지 또는 동영상 생성형 AI 모 델에서 생성되는 한국 고궁의 객체는 대부분 경복궁의 근정전을 기본으로 하 거나 중국 또는 일본 궁으로 노출되고 있으며 국내는 물론 해외에 잘못된 AI 산출물 결과 및 인식이 확산하고 있음 | - 조선의 5대 궁궐(경복궁, 창덕궁, 창경 궁, 덕수궁, 경희궁) 및 종묘, 칠궁의 158개 건축물 대상으로 6개 해상도 총 59,376장의 이미지(1개 해상도 당 9,896장) 원천데이터 구축 |
학습용 데이터 저작권 이슈 | - 해외에서 인공지능은 학습용 데이터에 창 작자의 저작권을 갖는 저작물이 포함되 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 와 관련한 소송이 증가하고 있어 한국 시간문제로 보이며, AI 모델 학습에 저작 권이 있는 콘텐츠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 적으로 요구되고 있음 | - 조선시대에 창작이 완료된 문화재들은 저작권이 소멸하였으므로 조선의 5대 궁궐의 건축물 등은 촬영하더라도 저작 권법상 문제 되지 않음 - 설명문은 도슨트 표지판 내용을 사용하 지 않고 수행기관 자체 생성 |
기술 발전에 따른 학습용 이미지 및 텍스트 캡션 | - 최근 단순히 이미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을 넘어서, 비디오 제작 및 좀 더 세밀하고 자연스러운 제작이 가 능한 방향으로 기술 발전하고 있음 | - 이미지 수집 및 정확한 텍스트 캡션 (국문+영문) 구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생성 |
활용서비스
조선시대 주요 건축물 이미지 데이터 확보
-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의 “조선의 5대 궁궐” 및 종묘, 칠궁의 주요 건축물 이미지
데이터를 중심으로 확보
- 구축한 이미지 데이터를 사이버(VR) 박물관, AR 기반 데이터로 활용
초해상화(Super-Resolution) 연구 적용
- 고해상도, 저해상도 이미지를 병렬(쌍)로 구축하여 저해상도 이미지에 대한 고해상도 적용
(초해상화)을 통해 선명하고 뛰어난 화질 제공
- CCTV 저해상도, 이미지 저해상도 자료를 고해상도로 적용
스톡 이미지와 동영상 숏폼 제작 활용
- 프리 또는 무료라이선스 하에 제공되는 스톡 이미지로 활용하여 웹사이트, 프리젠테이션, 보고서,
홍보물, 광고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각적 매력을 더하거나, 정보를 전달하는데 효과적임
문화재 관리업무 적용
- 대상물에 대한 다양한 각도의 촬영 수집을 통해 문화재의 수리 보수 등 관련 업무에 활용
인공지능 학습을 위해 조선의 5대 궁궐인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과 왕실의
신주를 모신 유교 사당인 종묘 및 칠궁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각도와 고화질 이미지로
촬영하고 정제하여 6개의 해상도로 원천데이터 59,376 장(1개 해상도 당 9,896장) 구축을 진행하여
한국적인 콘텐츠 부족으로 해외에서 서양 또는 중국, 일본 객체 위주의 잘못된 인식이
확산하는 데이터 편향성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연구 또는 응용 기술에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