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4월의 저작자

썸네일
  • 출생지
    충북 청주
  • 출생연도
    1927-09-22 ~ 2011-02-24
  • 직업
  • 주요이력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1961~1993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회 위원
    • 1993년 국민훈장 목련장
    • 1980년 제29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상
    • 1955년 제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특선

한국 단색화의 대표적 작가이자 닥의 화가로도 불리는 정창섭(鄭昌燮, 1927~2011)은 종이대신 한지의 원료인 닥을 주재료로 사용해 작업한다. 직접 만든 풀에 반죽한 닥을 캔버스 위에 평평하게 바르는 모든 과정이 정창섭에게는 물(物)과 아(我)가 만나게 되는 과정이다. 이른바 ‘물아합일(物我合一)’라고 할 수 있는 이 단계에 다다른 결과물로서, 정창섭의 작품은 이미지가 아닌 ‘닥’이라는 물질 그 자체가 존재하는 생명체와도 같다.

工房(공방)-1955-1 이미지

工房(공방)-1955-1

  • 저작자
    정창섭
    분류(장르)
    미술
  • CC BY-NC-ND[저작권정보 표시-비영리-변경금지]
    출처(저작자)를 밝혀야 합니다. 상업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1927년 9월 22일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난 정창섭은 194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 입학하여 1951년에 졸업한다. 이후 1953년 <제2회 국전>에 출품한 <낙조(落照)>가 특선에 당선되면서 화단에 정식 등단하였다. 그는 1950년대 중반까지 소묘력에 바탕을 둔 구상화를 그렸는데 1955년에 제작한 <공방(工房)>(1955)을 보면 인체와 정물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정창섭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 <심문(心紋)B>(1958)이 그러한 변화를 잘 드러내준다. 이 작품에서 형상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으며 작가의 행위가 연상되는 두터운 마티에르(matière)와 색면만이 존재하였다. 이는 정창섭이 점차 대상을 이성적으로 분석하여 그리기보다 작가 자신과 재료 본연의 물성에 집중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했다. 또한 그가 전근대적 잔재, 이른바 ‘국전양식’에서 벗어나 보다 실험적이고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