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조바위상자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조바위상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가장자리를 연환문으로 둘렀고‚ 그 중간 중간에 卍자문이 표현되어 있다. 전면에는 한 마리의 나비와 매화‚ 태극문‚ 그리고 도안화된 壽자문을 비롯해 ‘壽福康寧’ 네 글자로 장식하였다. 나비는 즐거움과 행복‚ 그리고 자유연애와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매화는 겨울과 봄이 교차하는 시기에 핀다고 해서 보춘화라는 별명이 있으며‚ 순결과 절개의 상징으로 표현되었다. 태극은 신성과 신비의 부호로 사용해 왔으나‚ 차츰 쓰이는 범위가 넓어져 신성보다도 길상(吉祥)과 축복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연환문은 동그라미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문양을 말하는데‚ 좋은 일이 지속되어 단절되지 않는다는 최대의 길상적 의미를 지니며‚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도구의 의미도 있다. 卍자문 또한 길상과 만복이 집결되었다는 의미로 쓰이며‚ 卍자의 사방 끝이 종횡으로 늘어나 계속 이어짐으로 무한 장구하다는 뜻을 가진다. ‘壽福康寧’자 문양은 한자를 그대로 취한 문양으로 오래 살면서 복을 누리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