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환두대도

추천0 조회수 9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환두대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환두대도란 손잡이 부분에 커다란 고리가 있는 칼을 말한다. 삼국시대 주로 베는데 쓰였던 근거리 무기의 일종이다. 고구려‚ 백제‚ 신라 유적 모두에서 골고루 출토되고 있다. 이 유물의 손잡이는 금동으로 된 둥근 고리가 있고 그 안에 용머리가 조각되었다. 이 용머리는 마치 닭볏과 같이 뒤로 뻗어 고리에 닿고 내민 혀의 끝은 앞으로 뻗어 고리에 접했다. 둥근 고리 자체에는 한 몸통에 2개의 머리를 가진 용이 새겨져 있다. 고리와 접한 손잡이 윗부분에는 서로 맞대어서 4개의 거북이 등껍질 모양이 있고 그 안에 각각 한 마리씩 봉황을 새긴 장식띠가 둘러져 있다. 그 밑에는 작은 구슬 무늬들이 연결되어 있는 띠 안에 w자형의 무늬가 새겨져 있다. 손잡이에는 작은 구슬 무늬가 연달아 되어 있는 금은줄을 교대로 감았다. 칼집은 썩어서 흑칠편(黑漆片) 등이 조금 남았고 칼집의 측면 중심선에 마름모꼴의 투조된 금판이 한줄기 있으며 칼집 끝 마감장식은 은판을 팔각통으로 만들었다. 부식된 칼날의 일부가 남아있다. 고리 안에 용이 조각되어 있다. 용은 모든 실재하는 동물과 상상 속 동물들의 능력과 장점을 모아서 만들어 낸 상상의 동물이다. 머리는 뱀의 모양을‚ 뿔은 사슴‚ 눈은 귀신‚ 귀는 소‚ 목은 뱀‚ 배는 큰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발바닥은 호랑이를 닮았다고 한다. 용은 모든 동물의 우두머리로서 능력이 무궁하여서 사람들이 가히 알 수 없는 능력과 힘을 지닌 동물로 인식하였다. 용은 모든 자연현상을 주재하는 동물이다. 때문에 용은 만물 조화의 능력을 갖춘 신령스러운 동물‚ 권위의 상징‚ 그리고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힘과 수호의 능력을 갖춘 영험한 동물이었다. 칼에는 거북무늬가 직접 등장하지는 않지만‚ 거북 등껍질 무늬 안에 봉황이 새겨져 있다. 거북은 용이 모든 동물의 우두머리이듯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