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화약통

추천0 조회수 6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화약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화약을 담아두던 통이다. 이 화약통은 거북형의 목제 공예품으로서 다른 화약통에 비해서 섬세한 문양이 특징이다. 형태를 보면 밖은 원형대로 조각했고 속부분은 둥글게 파냈으며 몸통으로 들어가는 쪽은 사선모양으로 깎아 마무리했다. 거북형태를 띄고 있으며 등에는 여러 무늬가 섞여서 표현되어 있다. 거북의 등에 귀갑문을 표현하고 그 안에 ?자문을 새겨넣었다. 거북은 용이 모든 동물의 우두머리로‚ 봉황이 모든 새의 우두머리로 믿어졌던 것처럼 갑각류(介蟲)의 우두머리로 여겨졌던 동물이다. 거북은 용이나 봉황과는 다르게 실재하는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오랜 역사를 통하여 영험하고 신령스러운 동물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거북의 형태가 등이 둥글게 솟은 것이 하늘이 모양을 닮았고‚ 배부분은 평평하고 네모난 것이 땅의 모습을 닮았다고 하여 매우 신령스럽게 받아들여졌다. 거북의 등껍질 모양과 비슷한 육각형의 문양을 말하며‚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연속된 무늬로 베풀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귀갑문(龜甲文)‚ 귀쇄문(龜鎖文)이라고도 하는데‚ 거북이 지닌 상징적 의미인 장수(長壽)‚ 상서(祥瑞)‚ 선수(仙?)의 뜻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무늬로서의 거북은 장수를 상징하는 무늬였다. 화약통에 장수를 상징하는 거북모양이 많이 취해진 이유는 전쟁터에 있는 소지자가 건강하게 목숨을 유지하기를 바라는 의미를 가진 것이다. 운문(雲紋)은 위엄(威嚴)‚ 신비성‚ 속세를 벗어난 풍류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