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동제용문원형경

추천0 조회수 6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동제용문원형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한나라 이전의 청동거울 중에서 진(秦)나라 때의 동기(銅器)와 유사한 무늬가 있는 청동거울이 1920-30년대에 주목되어 진나라식 거울 또는 선진(先秦)거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국식 거울을 주로 하면서 시대적으로는 춘추시대에서 전한(前漢) 초기에까지 미치고 있다. 분포지역도 진나라에 한정되지 않고 있어 한나라 이전의 옛 청동거울은 춘추식 ·전국식 거울로 구분한다. 이 유물은 거울 뒷면 정중앙에 꼭지가 하나 달려 있고 꼭지를 꽃잎으로 둘러쌌다. 내곽에는 용(龍)을 두 마리 조각하였는데 용들은 대칭적으로 양각(陽刻)되었다. 용이 화염보주(火焰寶?)를 물려고 달려드는 모습이 날카로운 발톱‚ 힘찬 머리와 몸의 움직임‚ 휘날리는 구름 등으로 실감나게 표현되었다. 거울의 가장자리에는 보통 크기의 테두리가 돌려져 있다. 거울의 무늬 장식 기법이 정교하고‚ 양각의 선명한 조각들에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용은 모든 실재하는 동물과 상상 속 동물들의 능력과 장점을 모아서 만들어 낸 상상의 동물이다. 머리는 뱀의 모양을‚ 뿔은 사슴‚ 눈은 귀신‚ 귀는 소‚ 목은 뱀‚ 배는 큰 조개‚ 비늘은 잉어‚ 발톱은 매‚ 발바닥은 호랑이를 닮았다고 한다. 용은 모든 동물의 우두머리로서 능력이 무궁하여서 사람들이 가히 알 수 없는 능력과 힘을 지닌 동물로 인식하였다. 용은 모든 자연현상을 주재하는 동물이다. 때문에 용은 만물 조화의 능력을 갖춘 신령스러운 동물‚ 권위의 상징‚ 그리고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힘과 수호의 능력을 갖춘 영험한 동물이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