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은제장생문장도

추천0 조회수 15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은제장생문장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장도는 칼집을 갖춘 작은 칼로서 휴대용 장신구로인데 신라 시대부터 남녀가 공용으로 찼으며 조선시대에는 노리개로 유행하였다. 남자들은 주머니‚ 담배쌈지와 더불어 주머니에 착용했으며‚ 여자는 치마 속 허리띠에 차거나 노리개의 주체로 이용하였는데 호신용으로도 사용되었다. 장도는 칼자루와 칼날‚ 칼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칼자루와 집은 먹감나무‚ 대추나무‚ 쇠뼈‚ 대모‚ 산호‚ 금‚ 은‚ 옥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다. 이 은제장도는 호로병 세 개를 연결해 놓은 것처럼 보이는 마디형의 은장도로서 칼집과 칼자루 전면에 십장생문을 시문하였으며‚ 가운데 부분을 도톰하게 손에 쥐기 편하게 만든 남자용 장도다. 손잡이의 맨 윗부분에는 십장생에는 포함되지 않는 원숭이가 새겨졌다. 그 아래로 두 마리의 학이 단수자(團壽字)를 중앙에 두고 마주보며 날고 있는 모습이 새겨졌다. 장도의 가운데 부분에는 소나무 아래 노닐고 있는 사슴이 새겨졌으며 장도 아랫부분에는 정기를 내뿜고 있는 거북이가 새겨졌다. 장도의 맨 끝에는 회(回)자 모양을 연속시킨 번개무늬를 둘러 새겼다. 중간의 작은 마디에는 도안화된 꽃문양을 둥글게 돌아가며 시문하였다. 원숭이는 원후라 하기도 하는데‚ 후와 후(侯)의 발음이 같은 것과 관련하여 제후(諸侯)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으며 이것이 발전하여 관직 등용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동양의 관념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장생에 대한 염원을 꼽을 수 있다. 십장생은 해‚ 산‚ 돌‚ 물‚ 구름‚ 소나무‚ 불로초(영지버섯)‚ 거북‚ 학‚ 사슴을 말한다. ‘십(十)’이란 숫자는 모든 수를 갖추는 기본을 의미하며 이런 십장생문(十長生紋)은 주로 18세기 이후에 유행하는 문양 중의 하나이다. 학은 장수와 고고함을 상징한다. 옛 문헌에도 “학은 양의 새이다. 16년에 소변(小變)하고 60년에 대변(?變)한다. 2년에는 잔털이 떨어져 검은 점으로 변하고 3년에는 머리가 붉게 변한다. 7년에 은하수를 치고 날며 또 7년에 춤을 배우고‚ 다시 7년에 절도를 터득한다. 밤과 낮으로 12번 울며 60년에 큰 털이 빠지고 뭇 털이 무성해진다. 깃털은 눈같이 희어서 진흙탕에도 더럽혀지지 않는다. 160년에 암수가 서로 만나 눈을 마주쳐 주시하면 잉태한다. 1600년 동안 물을 마시지만 먹이는 먹지 아니한다. 물을 먹기 때문에 부리가 길며 앞은 훤칠하고 뒤는 짧다. 땅에 깃들이기 때문에 다리가 길고 꼬리는 추레하다. 구름 위를 날기 때문에 털은 풍성하나 몸은 깡말랐다. 갈 때는 물가에 의지하며 그칠 때는 반드시 수풀에 모인다. 날개 달린 동물의 우두머리이며 선인이 타고 다닌다”고 하였다. 십장생무늬에서는 보통 영지버섯(不老草)를 물고 구름 속을 나는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여기서는 장수를 상징하는 길상문양인 단수자(團壽字)가 나타난다. 옛 사람들은 구름은 천신이나 신령들이 부리는 탈것일 뿐 아니라‚ 만물을 자라게 하는 비의 근원이라고 여겼다. 따라서 상서로운 구름무늬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장수와 길상을 상징했다. 중국에서는 구름 운(雲)자와 운수 운(運)자가 같은 음을 낸다고 하여 구름은 길운(吉運)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