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표주박

추천0 조회수 10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표주박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표주박은 주로 물을 떠낼 때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술독에 띄워놓고 술을 퍼내는 데 쓰기도 하였고‚ 장조랑바가지라고 하여 간장독에 띄워놓고 간장을 떠낼 때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선비들이 야외용으로 지니고 다니기도 하였다. 휴대용 표주박은 대부분 나무로 만들었는데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대추나무를 깎아 천도복숭아 모양으로 만들었으며‚ 바깥쪽을 음각이나 양각으로 장식하기도 하였다. 이 표주박은 휴대용 표주박으로 나무로 만들어 칠을 입혔다. 타원형으로 깎아 만들었으며 겉에는 호랑이를 양각으로 새겼다. 표주박의 위쪽에 두 개의 고리를 달았는데 국화꽃 문양의 바탕에 고리를 달았다. 호랑이는 예로부터 액을 막아주는 신령스런 동물로 여겨져 왔으며‚ 용맹과 권위를 상징하기 때문에 위엄과 힘‚ 날카로운 발톱 등이 잡귀를 물리치고 주술적인 힘을 갖는다고 믿었기 때문에 무인의 용맹(勇?)과 무(武)를 상징한다. 국화는 동진(東晉)의 시인 도연명(陶?明)이 자신의 지조를 굽히지 않고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소나무와 국화를 벗하면서 살았다는 일화로 인해 군자의 맑은 아취와 높은 절개를 지닌 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은군자(隱君子: 속세를 떠나 숨어 사는 군자)‚ 은일화(隱逸花: 속세를 떠나 숨어있는 꽃)라는 별명은 여기에서 연유한다. 또한 늦은 서리를 견디면서 그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생태는 길상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영초(齡草: 나이든 식물)‚ 옹초(翁草: 나이든 식물)‚ 천대견초(千代見草: 천대에 걸쳐서 볼 수 있는 식물)라고도 하여 장수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