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닭모양도기

추천0 조회수 12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닭모양도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닭 모양의 도기로 주로 가야에서 만들어진 회청색 경질도기이다. 우리나라의 닭 모양 도기는 중국 육조시대 동물형 도기의 영향으로 만들어진 것 같다. 낙동강유역에서의 성행은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傳)에 서술된 낙동강유역의 새 숭배사상과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닭모양 도기는 실생활 용기가 아닌 영혼을 하늘로 인도해 주기를 바라는 특수한 부장용품으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닭의 등에 외반된 구연부와 꼬리 쪽에 2㎝ 가량의 큰 구멍이 서로 통하게 된 구조이다. 머리의 벼슬로 보아 닭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부리의 모양이 오리의 부리와 같이 납작하게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닭의 모양을 간략화 시킨 가운데 특징을 살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새 모양의 도기에 대하여 후미(後尾)의 과장된 구멍은 많은 새알을 희구(希求)하는 다산(太産)을 상징하며‚ 무덤에 부장된 것으로 미루어 속이 빈 몸체에 죽은 자의 영혼을 담고 강을 건너는 영혼 운반선(運搬船)으로 해석하는 학자들도 있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닭은 때를 아는 가축이라 하였고‚ 『역경(易經)』에서는 닭이 팔괘의 손(巽)에 해당하는 동물로 기록되어 있다. 손괘의 방위는 동남쪽인데 이 방향은 여명이 시작되는 곳이라 하여 닭은 희망찬 출발이나 상서로움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또 옛사람들은 닭이 울면 모든 잡귀들이 사라진다고 믿었기 때문에 벽사의 의도로 닭 그림을 그렸다. 닭은 예로부터 문(文)‚ 무(武)‚ 용(勇)‚ 인(仁)‚ 신(信)의 오덕(五德)을 갖춘 덕금(德禽)으로 사랑을 받아 왔다 머리에 관(볏)을 쓰고 있으니 문(文)이요‚ 발에는 날카로운 발톱이 있어 무(武)요‚ 적을 맞아 물러서지 않고 죽을 때까지 싸우니 용(勇)이요‚ 음식을 보면 혼자 먹지 아니하고 함께 먹으니 인(仁)이요‚ 밤을 지키되 그 때를 잃지 않으니 신(信)이라 했다. 중국에서는 계(鷄)의 발음이 길(吉)과 유사하다 하여 닭은 길상의 상징으로 여겼다. 그래서 혼인할 때 크고 화려한 수탉을 보내는 것은 혼일은 축하하고 길상과 이로움을 축원하는 뜻이다. 한편 발음과 관련해서 닭은 용맹을 상징한다. 수탉(雄鷄)의 웅(雄)은 영웅의 웅(雄)과 같은 글자이며 날카로운 발톱으로 적을 맞아 죽을 때까지 싸우니 영웅의 드높은 투지를 나타낸다. 또한 수탉이 큰 소리로 우는 모습을 그린 문양은 공계명(公鷄鳴)이라 하여 곧 공명(功名)을 의미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