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ㄷ자형자물쇠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ㄷ자형자물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측면 모양이 원통형인 것을 제외하면 ㄷ자 자물쇠와 동일하다. 외형은 정면과 측면 모두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줏대가 속창이 상하에 붙어있어 잠글쇠가 전체적으로 ‘ㄷ'자형을 이룬다 하여 ㄷ자형자물쇠이다. 개폐는 자물통 측면 부분의 열쇠구멍에 'ㄱ'자 형의 열쇠를 밀어 넣으면 속청과 줏대가 밀려 나오면서 열리게 된다. 이 자물쇠는 좌우상단에 수복(壽福)자가 새겨져 있다. 중앙에 모란 한 송이가 커다랗게 새겨져 있다. 수복(壽福)자문은 길상(吉祥)문자 문양 중 하나로 장수를 상징한다. 예로부터 가장 보람되고 알찬 삶을 사는 것을 오복(五福)을 고루 갖추었다고 하는데 이 오복에 대해서는 『상서(常書)』의 「홍범(?範)」편에‚ “오복이란 첫째가 수(壽 : 오래 삶)‚ 둘째가 부(富 : 재산이 많음)‚ 셋째가 강녕(康寧 : 건강하고 평안함)‚ 넷째가 유호덕(攸?德 : 인격을 갖춘 삶)‚ 다섯째가 고종명(考終命 : 천명을 다함)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선조들은 이러한 삶을 염원하는 마음에서 그 바람을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문자를 문양으로 도안하여 생활 주변의 모든 기물에 구체화하여 베풀었던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글자 문양들은 해서나 초서로 된 것과 전서체(篆書體)나 도안화된 것으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수놓아진 경우에는 대개 해서체나 초서체가 많다. 그릇이나 기물‚ 기와 등의 공예품에서는 전서체나 도안체로 된 글자가 많다. 모란은 화려한 자태로 인하여 꽃 중의 왕으로 일컬어지며‚ 화목·부귀영화·번영을 상징한다. 송나라 유학자 주돈이는 「애련설(愛蓮說)」에서 “모란은 꽃 가운데 부귀한 자이다”고 하여 모란이 부귀를 상징함을 찬한 바 있다. 또한 모란이 주제로 등장하는 그림들 가운데 부귀장춘(富貴長春)은 오래도록 부귀영화를 누리기를 축원하는 도안이며‚ 장명부귀(長命富貴) 역시 생일을 축하하면서 장수와 부귀를 누리기를 기원하는 도안이다. 또한 모란과 수탉이 주제로 등장하는 공명부귀(功名富貴)는 벼슬길에 나아가 이름을 날리고 부귀를 누리기를 축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