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분청사기인화무늬대접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분청사기인화무늬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이 분청사기는 조선시대의 것으로 인화(印花)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인화기법은 일정한 무늬의 도장을 찍고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백토를 넣는 것으로 넓은 의미에서 상감기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고려 말 13세기경부터 퇴락한 상감 청자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인화문양은 고려 말 조선 초기에는 성글게 표현되다가 세종 말기에서 세조 연간에 촘촘해지면서 도자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세조 때는 인화분청의 절정기를 이룬다. 인화 분청자의 소재로는 작은 국화문이 주종을 이루며 나비‚ 커다란 꽃도 인화 문양으로 표현되었다. 인화 분청자는 문양과 구도가 자유분방하지 않고 정형화된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다른 종류의 분청자에 비해 특히 왕실용과 관청용이 많다. 이것은 분청사기 대접이다. 내면의 구연 아래에는 덩굴문대를 아래부분에는 연판문대를 돌렸으며 그 사이에 삿자리문을 인화하였다. 내면 바닥의 중앙에는 국화문을 시문하였다. 덩굴은 한자 표기로 당초(唐草)라 표기하는데‚ 당초는 ‘당(唐)나라 풍의 덩굴무늬’를 가리킨다. 당초라고 하는 용어는 원래 겨우살이덩굴(인동초)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인동초(忍冬草)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등지의 산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우살이 덩굴식물이다. 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장수와 대(代)를 이음을 상징하게 되었다. 조선시대의 도자기에는 청화(靑畵) 또는 철화(鐵畵)‚ 진사(辰砂)‚ 상감(象嵌) 등 시문기법으로 묘사한 회화풍의 덩굴문이 성행되어 소박한 민화적 장식 의장 문양의 성격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덩굴문은 그 상징성보다는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회화적인 구성으로서의 발전가능성으로 분청사기에서 가장 많이 시문되었다. 삿자리는 갈대로 만든 자리인데‚ 삿자리무늬는 비스듬히 줄을 이어 짧은 점선이 연결 집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에 의한 추상문양은 신석기 시대부터 나타나며‚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에서 나타난다. 만들 때 안으로는 자갈돌 같은 받침을 대고 밖으로부터 노끈을 감거나 노끈무늬·격자무늬를 새긴 방망이로 두드려 표면에 노끈무늬·격자무늬를 나타나게 한 다음 같은 간격의 평행선을 둘러 삿자리 비슷한 삿자리무늬를 장식하였는데 이렇게 만든 토기를 종래 승석문(繩蓆文) 혹은 삿무늬 토기라고 불렀다. 이러한 삿자리무늬는 고려상감청자에서도 나타나며‚ 분청사기에서는 인화문 기법으로 발전되었다. 분청사기의 무수한 점에 깔린 사상은 『주역(周易)』의 「태극론(?極論)」에서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점은 찍어가다 보면 결국 그 점은 되돌아오게 되고‚ 태어나면 사라지고 사라지면 또 태어나는 그러한 것이 삼라만상이고‚ 점이 모이면 산이 되고‚ 물이 되고‚ 또 흩어지면 공기가 되기도 한다.” 분청사기의 삿자리무늬에는 옛사람들의 우주관이 담겨있는 것이다. 삿자리무늬는 단순 소박한 모양과 장식으로 이루어진 분청사기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