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화각자

추천0 조회수 8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화각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화각자는 화각(華角)으로 장식한 바느질 자이다. 화각은 쇠뿔에 맑은 부분을 펴서 투명한 종잇장처럼 깎은 뒤 거기에다 오채(五彩)의 그림이나 화판(花瓣)만을 도식화(圖式化)한 문양을 그려 넣어 나무에 부착시킴으로써 화려하게 꾸며주는 것이다. 이 화각자는 양쪽에 12간지의 동물을 장식하였다. 십이지(十二支)는 육십(六十) 갑자(甲子)의 아래 단위를 이루는 12개의 요소로‚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등의 동물로 표현된다. 이들은 12방위에 맞추어 몸은 사람‚ 얼굴은 각각의 동물 모양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일찍이 도교의 방위신앙에서 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후에는 불교의 십이수(十二?) 개념과 결부되어 탑의 옥개석‚ 능묘의 호석 등에 부조되었다. 사찰의 석탑이나 불전(佛殿)의 벽에 장식된 십이지의 상을 보면‚ 대체로 갑옷이나 도포를 입은 사람의 몸에‚ 얼굴은 쥐‚ 소‚ 호랑이 등 십이지의 동물 모습을 하고 있다. 이는 그들의 본분이 삼보(三寶)와 국토‚ 중생들을 옹호하는 것임을 위세를 통해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그들은 불법(佛法)을 해치는 무리에 대해서는 위세를 떨쳐 일단 항복을 받지만‚ 그 다음에는 자비로운 마음으로 그들을 다시 소생시켜 불도(佛道)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민간에서는 새해가 되면 해당 동물이 그 해에 지니는 상징 의미를 마음속에 새기며 새해를 맞는 자세를 가다듬기도 하는데‚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즉 십이지는 도교와 불교의 방위‚ 수호 개념에서 발전 확대된 벽사와 길상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십이지 각각의 띠에 해당하는 사람의 액운을 막아주고 복을 주는 존재로 자리매김 되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