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의문양] 둘레방석문

추천0 조회수 5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의문양] 둘레방석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4-10-31
분류(장르)
미술
요약정보
둘레방석은 원래 『영조법식』 단청 문양 가운데 ‘마노지(瑪瑙地)’라는 문양에서 유래한 것이다. 마노는 보석의 일종으로 화산암의 공동 내에서 석영‚ 단백석‚ 옥수 등이 차례로 층을 이루면서 침전되어 생긴 것이다. 따라서 공동의 불규칙한 형태에 평행하게 줄무늬가 발달하는 것이 보통이다. 둥근 마노석을 단면으로 잘라 장식품으로 애용하는데 그 형상이 둘레방석과 매우 흡사하다. 특히 적·황·녹·흑색 등의 띠로 둘러진 단면의 가장자리는 그대로 단청 문양의 둘레방석에 응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마노는 불교의 칠보(七寶)에 속하는 것으로 귀중한 상징성을 담고 있다. 즉 마노는 다른 여섯 가지 보석과 함께 불교의 화엄장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상서로운 보석이다. 따라서 마노무늬가 단청에 응용된 연유를 이러한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culture.go.kr
분류(장르)
미술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