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복희와 여와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복희와 여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투루판 아스타나(阿斯塔那)의 묘실 천정에 부착되어 있었던 복희여와도이다. 복희여와도는 이미 전한대(前漢代) 석실묘(石室墓)의 화상석(?像石)에도 나타나는 매우 중국적인 모티프이지만‚ 이와 같이 독립된 화면에 복희여와도를 인물화로 구성한 예는 중국 내륙에서도 아직 출토된 예가 없다. 이는 천지창조의 설화를 표현한 것으로 오른쪽의 남신(男神) 복희는 왼손에 측량을 위한 곡척(曲尺)을 들고 있고 오른손으로는 묵통을 들고 있으며‚ 왼쪽의 여와는 오른손으로 컴퍼스 또는 가위를 들고 있다. 둘은 어깨를 껴안고 하나의 치마를 입고 있으며 하반신은 서로 몸을 꼬고 있는 뱀의 모습을 하고 있다. 창조신인 이들이 서로 몸을 꼬고 있는 모습은 이를 통하여 세상의 조화와 만물의 생성이 초래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죽은 자의 재생과 풍요를 기원하는 내세관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모티프는 인도나 서아시아의 메소포타미아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복희여와라는 테마가 남방 문화에 의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인물의 얼굴이나 손 등을 음영법(陰影法)으로 묘사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은 키질 석굴사원의 벽화를 연상케 하는 것으로‚ 중앙아시아 회화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상하의 일(日)·월(月) 내부가 부채살 모양으로 묘사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초기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투루판이 당(唐)의 지배에 들어가는 서주(西州)시대에는 일월(日月)의 내부가 다리가 셋 달린 까마귀와 두꺼비 등으로 묘사된다. 일월의 내부를 부채살 모양으로 표현하고 그 주위를 연속된 구슬무늬와 같은 형태로 묘사하는 기법은 키질 석굴벽화에서도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얼굴 등의 입체표현 양식과 더불어 쿠차 지역과의 문화 교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복희여와도를 묘실 천정에 부착해둔 것은 묘실 그 자체를 죽은 자가 맞이하는 내세의 영적 공간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복희여와도에 묘사되어 있는 북두칠성 역시 영생을 바라는 칠성 신앙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독특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