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반양각주름문병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반양각주름문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철분이 조금 섞인 백토(白土)로 만든 형태 위에 철분이 1-3% 정도 들어있는 장석질(長石質) 유약(釉藥)을 입혀 1250-1300도 정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내어 자화(磁化)한 자기의 일종이다. <특징> 동체는 아래가 좁고 어깨 부분에 최대경이 있다. 어깨 부분에 연판형의 음각선을 새기고 굽에 이르기까지 반양각기법으로 주름문을 장식했다. 태토에 모래가 섞여 있으며‚ 기면 전체를 시유했다. 광택이 약하고 빙열이 없으며 유색은 녹회색조이다. 굽다리는 밖으로 벌어져 있으며‚ 접지면과 굽 안쪽의 유약을 닦아내고 모래를 받쳐 번조했다.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경 자기 기술을 습득하여 우리나라에서 처음 청자를 생산하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당시 세계 도자 문화의 중심이던 중국과의 적극적인 교류 및 기술 개발을 통한 노력의 결과였다. 처음에는 이차점토(二次粘土)를 재료로 하는 청자로 시작되어‚ 곧이어 순수한 백색 고령토(高嶺土)로 만든 백자와 흑색 유약을 씌운 흑자(黑磁)로까지 발전하여 도자 문화는 한층 다양화되기 시작하였다. 청자의 종류와 명칭은 어떠한 기법으로 문양을 넣었는가 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는다. 우선 시문 기법은 각기법(刻技法)과 붓으로 문양을 그리는 화기법(畵技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각기법은 청자 태토 표면에 조각칼로 문양을 새기는 기법인데‚ 단일색(單一色)으로 나타나는 순청자(純靑磁)류와 칼로 문양을 음각한 후 흑토와 백토로 메우는 상감 기법을 포함한다. 화기법에는 흑토만으로 문양을 그린 철화(鐵畵) 기법과 전면에 흑토를 바르고 문양을 넣는 철채(鐵彩) 기법이 있고‚ 백토 또는 흑토로 그린 퇴화(堆花) 기법도 여기에 포함된다. 그리고 산화동을 써서 문양을 붉은색으로 나타내는 진사(辰砂) 기법과 청자토와 흑토‚ 백토를 적당히 혼합하여 자연스러운 문양을 나타내는 연리문(練理文) 기법이 있다. 음‚ 양각‚ 상감 기법과 같은 각기법은 거의 대부분 고급 청자에 사용하는 시문 기법이다. 청자는 처음 소문(素門) 청자에서 문양을 장식하는 음‚ 양각 청자로 발전하는 순청자시대를 지나 상감기법이 성행하는 소위 상감 청자시대를 맞게 된다. 따라서 청자의 흐름은 전기에 순청자‚ 후기에 상감청자로 구분되고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변천 과정을 살피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