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정 심상소학 권3

추천0 조회수 9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정 심상소학 권3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1896년 학부에서 편찬한 아동용 국어교과서의 일종이다. <목차> 第1課 萬壽聖節(만수성절)이라 第2課 배호기랄 勤(근)함이라 第3課 ?保已一(각보이일)의 話(화)라 第4課 소경이라 第5課 警察(경찰)이라 第6課 虎(호)와 狐(호)의 話(화)라 第7課 華盛頓(화성돈‚ Washington George)의 話(화)라 第8課 心(심)의 秤(칭)이라 第9課 孝鼠(효서)의 이야기라 第10課 英祖朝(영조조)게오서 褥(욕)랄 還給(환급)하신이아기라 第11課 李時白(이시백)이 꼿을 밧치치 아니하이애기라 第12課 宿瘤(숙류)의 話(화)라 第13課 鳥(조)됨을 願(원)하난 問答(문답)이라 第14課 菊花(국화)라 第15課 紀元節(기원절)이라 第16課 ?(연)이라 第17課 雀(작)이 ?(연)의 랄 ?(탈)한 話(화)라 第18課 書冊(서책)을 讀(독)하난 法(법)이라 第19課 繪(회)와 圖(도)라 第20課 日本居留地(일본거류지)의 地圖(지도)라 第21課 山(산)과 河(하)라 第22課 蜜蜂(밀봉)이라 第23課 狡?(교활)한 馬(마)라 第24課 地球(지구)의 回轉(회전)이라 第25課 四節(사절)이라 第26課 一年(일년)의 月日(월일)이라 第27課 人(인)의 一生(일생)이라 第28課 정성이라 第29課 ?(수)의 ?(왕)이라 第30課 養生(양생)이라 第31課 順明(순명)의 鳩(구)라 第32課 船(선)이라 第33課 武器(무기)라 第34課 軍士(군사)라 <주요내용 및 특징> 『신정 심상소학』 총 3권 3책 중 권3이다. 권1의 서문에서 이 책의 간행 목적을 아동들로 하여금 국문 사용의 필요성 및 각국의 형세를 깨우치게 하는 데 있음을 밝히고 있다. 주요 내용은 아동들이 지녀야 할 가치 덕목과 행위지침 등 교훈적인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일상의 생활 규범을 우화와 비유를 통하여 알려주고 있다. 또한 일본 역사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사적이나 일본의 풍속을 소개하는 삽화가 간간이 수록되어 있고‚ 우리나라의 정통성과 역사를 소개하고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해 협력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지구의 자전 및 사시의 운행 등 주위 사물과 자연현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의 맨 뒤편에는 당시 학부 편집국에서 간행한 도서의 목록과 정가표가 수록되어 있어 개화기 교과용 도서의 일면을 살필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정규 학교 교육에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 간행되어 사용된 것은 1894년 이후이다.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토대가 된 신학제(新學制)가 확정되었고‚ 1894년 음력 6월 26일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설치되어 교육을 관장하였다. 이 시기의 교과서 편찬은 정부 주도의 교과서 편찬과 민간 주도의 교과서 편찬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학교가 설립되고 교육 과정이 제정됨으로써 교과서 편찬의 업무는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되었고‚ 처음부터 일본인의 직접적인 간섭 아래 진행되었다. 정부는 1895년에 학부편집국에서 《국민소학독본》과 《소학독본》을 시험적으로 출판하였으며‚ 이들 교과서는 신학제 수립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이다. 이 시기 정부 주도 하의 교과서 편찬이 식민지 교육의 하나로 추진됨에 따라 뜻있는 민간학회와 교육회 등을 중심으로 항일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부는 1908년 8월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과 1909년 5월 <출판법 규칙>을 공포하여‚ 민간주도의 교과서 중 배일사상(排日??)을 고취하거나 질서와 풍속을 문란하게 한다는 교과서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다. 그 결과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동국사략》‚ 《금수회의록》 등 8종이 국가 안녕 및 질서를 방해한다는 명목으로 발매‚ 배포 금지 처분을 받았고‚ 1909년 5월부터 12월까지 발매 금지 처분을 받은 민간 주도 교과서는 모두 39종에 이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