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중등한문독본 권2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등한문독본 권2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한자 문장을 중심으로 해석과 문법을 교육하기 위한 중등교육용 한문 교과서이다. <목차> 第一課 讀書(독서) 第二課 勤學(근학) 第三課 燈(등) 第四課 禽?(금수) 第五課 燕子(연자) 第六課 松(송) 第七課 指甲(지갑) 第八課 灑掃(쇄소) 第九課 蒼繩(창승) 第十課 帽(모) 第十一課 母?(모계) 第十二課 孝親(효친) 第十三課 勿貪太(물탐다) 第十四課 樓桃(누도) 第十五課 敎弟(교제) 第十六課 不倒翁(부도옹) 第十七課 水(수) 第十八課 火(화) 第十九課 勿戱火(물희화) 第二十課 借金(차금) 第二十一課 方向(방향) 第二十二課 納凉(납량) 第二十三課 螢(형) 第二十四課 荷(하) 第二十五課 我國(아국) 第二十六課 ?統領(대통령) 第二十七課 桂花(계화) 第二十八課 陪客(배객) 第二十九課 畵竹(화죽) 第三十課 湖(호) 第三十一課 山(산) 第三十二課 菊(국) 第三十三課 果園(과원) 第三十四課 衣食(의식) 第三十五課 米(미) 第三十六課 布(포) 第三十七課 潔?(결정) 第三十八課 不誤時(부오시) 第三十九課 親?(친은) 第四十課 母羊求救(모양구구) 第四十一課 鄕人(향인) 第四十二課 器具(기구) 第四十三課 鏡子(경자) 第四十四課 車(차)(一) 第四十五課 車(차)(二) 第四十六課 歲寒三友(세한삼우) <주요내용 및 특징> 비교적 단시간에 한문 실력을 양성하게 하도록 편찬하였으며‚ 현대 중국인의 한문 교수법을 채용하여 교재(敎材)도 현대문(琅代文)에서 많이 채택하였다. 단원마다 본문과 연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습은 다시 현토(懸吐)와 문법(文法)‚ 조구(造句)로 되어 있다. 학생들로 하여금 본문을 먼저 읽히고 그 가운데서 모르는 단어를 해석하게 하고 다시 전문(全文)의 의미를 해석하도록 하였다. 미군정 하의 학무국은 1945년 9월에 각 학교의 새로운 교과목 편제와 시간 배당을 발표하고‚ 국어 교육의 보급에 치중하였다. 이 시기 초등학교에서는 새로운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공민과를 신설하였고‚ 1946년 9월부터는 교육심의회(敎育審議會)에서 새로운 교과과정을 편성하여 교과목 중 사회생활과를 신설하였다. 교육심의회는 1946년 6월에 학제를 6‚6‚4제로 개혁하였다. 국민학교는 6년 의무교육과 수업료 폐지‚ 취학 연령을 6세부터 11세로 하였고‚ 중학교의 수업 연한은 3년‚ 고등 중학교는 6년으로 하였다. 사범학교는 3년제로 15세부터 17세까지를 대상으로 하였고‚ 실업 및 기술교육이 3년제의 실업 초급 중학교와 실업 고급 중학교 및 단기양성소 등을 통하여 실시되었다. 대학의 경우는 수업연한을 4년제로 함과 동시에 취학 연령을 만 18세부터 21세까지로 정하였다. 학무국은 1946년 11월 《교수요목(敎授要目)》을 발표함과 아울러 교과서 편찬사업에 주력하였다. 교수요목의 특색은 교과 지도 내용의 상세화‚ 분과주의 채택과 체계적 지도를 통한 지력 배양‚ 홍익인간의 이념에 의한 애국 애족 교육과 일제 잔재의 제거 등을 들 수 있다. 1949년 최초의 <교육법>이 마련되면서 6‚3‚3‚4제의 학제가 확립되었다.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 보통 교육을 목적으로 한 초등학교의 수업 연한은 6년‚ 국민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 보통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중학교의 수업 연한은 3년‚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고등 보통 교육과 전문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등학교의 수업연한은 3년이다. 또한 학령을 초과하였거나 정규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아동을 위하여 공민학교(公民學校)와 고등 공민학교를 설치하였고‚ 초급 기술 교육을 위한 기술학교와 고등 기술학교 제도를 두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