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 우리나라 역사지도

추천0 조회수 1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 우리나라 역사지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문교부의 인정을 받아 발행된 중등학교 사회생활과 우리나라 역사지도 교과서이다. <목차> 우리 나라의 산계 및 하천 한국 사전(史前) 유적 분포도( 一‚ 二) 한사군(漢四郡) 위치도 고조선고 왕검성 한사군(漢四郡)의 퇴축 낙랑군 치지(樂?郡 治址) 부근도 대방군치(帶方郡治)와 대수(帶水) 삼한 강역도(三韓疆域圖) 백제의 최대판도 가야 제국도(伽倻諸國圖) 고구려의 최대판도 신라 진흥왕 북경(北京) 경략도 서울 부근의 삼국 시대 유적 삼국 시대 말기의 형세(形勢) 고구려 전역(戰役) 지리도 백제 전역(戰役) 지리도 고구려 국내성(환도) 부근도 고구려 평양. 장안성 부근도 부여 부근의 백제 시대 유적 경주 부근의 백제 시대 유적 신라 구주 오경도(新羅 九州 五京圖) 발해의 강역(疆域)과 오경(五京) 발해 상경(上京) 용천부(龍泉府) 부근도 후 삼국 시대의 형세(形勢) 고려 태조의 통일 고려 십도도(十道圖) 고려 왕경(?京) 개성부도 고려 북계도(北界圖) 의주(義州) 근방의 고려 시대 고성지(古城址) 윤관 구성도(尹瓘 九成圖) 고려 오도(五道) 양계도(兩界圖) 고려 시대의 경기(京畿)와 서경기(서경기(西京畿) 여. 송 교통로 여. 송 교통로의 일부 원(元) 세력하의 우리 나라 강도 시대(江都時代)의 강화도 고려 말기의 우리나라 영역(領域) 근세 조선 세종 시대의 팔도도(八道圖) 육진 설치(六鎭設置)의 경과(經過) 임란해전도(壬亂涇戰圖) 임진란(壬辰亂) 왜군 침입도 근세 조선 중기 이후의 팔도도(八道圖) 폐사군도(廢四郡圖) 근세 조선 시대의 주요한 역로(驛路)와 해로(涇路) 동학란(東學亂)과 청.일(?.日) 양국의 충돌 병인. 신미 양요(丙寅. 辛未?擾) 당시의 강화도와 그 부근 근세 조선 말의 이십삼부도(二十三府圖) 백두산 정계비(定界碑)와 토문강(土門江) <주요 내용 및 특징> 교육과정상 1차 교육과정기에 편찬된 역사 지도 교과서로서‚ 지도부분‚ 연표‚ 찾아보기 등으로 구성되었다. 지도부분의 주요 차례를 살펴보면‚ 한사군 위치도(3쪽)‚ 백제의 최대관도(6쪽)‚ 고구려 전역 지리도(10쪽)‚ 후삼국시대의 형세(15쪽)‚ 백두산 정계비와 토문강(30쪽) 등이 있다. 부록으로는 연표와 찾아보기가 되어 있어 지도를 보면서 중요한 그 시기의 사항이나 외국과의 대조까지도 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두 컬러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1954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령(國民學校‚ 中學校‚ 高等學校‚ 師範學校 敎育課程 時間配當 基準令)>과 1955년 8월 1일의 문교부령 제44호 <국민 학교 교과과정(國民學校 敎科課程)>‚ 제45호 <중학교 교과과정(中學校 敎科課程)>‚ 제46호 <고등학교 및 사범학교 교과과정(高等學校 및 師範學校 敎科課程)>에 따라 학교 교육과정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각 학교의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은 교과별 연간 시간을 최저와 최고의 시간 기준으로 표시하여 지역별‚ 학교별 여건에 맞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을 학교의 지도하에 학생이 하는 모든 경험이라고 보고‚ 교과목의 학습과 그 밖의 학교 학습활동을 같은 비중으로 보았다. 그 밖에도 사회생활과를 중학교까지 설치하고‚ 초·중학교의 이과를 자연 혹은 과학으로 바꾸어 광역형 교육과정 운영방식을 도입하였으며‚ 실업 교과의 비중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정신에 따라 1955년에는 국정교과서‚ 검정교과서‚ 인정교과서가 편찬‚ 발간되었고 검인정 규정에 관한 세부 지침이 작성‚ 배포되었다. 또한 1955년부터 연차적으로 개편 또는 신규 편찬에 착수하여‚ 1958년까지 사회생활부도 및 고등 국어 3학년용을 제외한 모든 국정교과서의 편찬을 완료하였다. 이때 편찬을 완료한 국정교과서는 총 96종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