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찬 척독완편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찬 척독완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편지 쓰기를 교육하기 위한 중등교육용 교과서이다. <목차> 卷二 第五章 慶賀(경하) 第六章 慰問(위문) 第七章 尊卑(존비) 第八章 上?(상소) 新行裁判所法令(신행재판소법령) 第一篇 裁判所?成法(재판소구성법) 第二篇 民形訴訟規則(민형소송규칙) 第三篇 裁判所及檢事局處務規程(재판소급검사국처무규정) 第四篇 民事訴訟期限規則(민사소송기한규칙) 第五篇 未決困及己決困押送規則(미결곤급기결곤압송규칙) 諸六編 着守及女監取締職務規程(착수급여감취체직무규정) 第七編 判任待遇監?職員給與令(판임대우감옥직원급여령) 第八編 訓令(훈령) 第九編 民事訴訟手數料規則(민사소송수수료규칙) 第十編 警察留置場(경찰유치장)에셔 行留置(행유치)와 抱留形罰?行(포류형벌예행)에 關件(관건) 第十一篇 土地家屋所有權證明規則(토지가옥소유권증명규칙) <주요내용 및 특징> 국한문혼용형식으로 된 편지쓰기의 실례를 보이고 있으며‚ 서간문(書簡文)에 관한 여러 가지 주제의 예문과 이에 대한 답서(答書)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으로 신행 재판소 법령이 수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정규 학교 교육에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 간행되어 사용된 것은 1894년 이후이다.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토대가 된 신학제(新學制)가 확정되었고‚ 1894년 음력 6월 26일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설치되어 교육을 관장하였다. 이 시기의 교과서 편찬은 정부 주도의 교과서 편찬과 민간 주도의 교과서 편찬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학교가 설립되고 교육 과정이 제정됨으로써 교과서 편찬의 업무는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되었고‚ 처음부터 일본인의 직접적인 간섭 아래 진행되었다. 정부는 1895년에 학부편집국에서 《국민소학독본》과 《소학독본》을 시험적으로 출판하였으며‚ 이들 교과서는 신학제 수립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이다. 이 시기 정부 주도 하의 교과서 편찬이 식민지 교육의 하나로 추진됨에 따라 뜻있는 민간학회와 교육회 등을 중심으로 항일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부는 1908년 8월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과 1909년 5월 <출판법 규칙>을 공포하여‚ 민간주도의 교과서 중 배일사상(排日??)을 고취하거나 질서와 풍속을 문란하게 한다는 교과서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다. 그 결과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동국사략》‚ 《금수회의록》 등 8종이 국가 안녕 및 질서를 방해한다는 명목으로 발매‚ 배포 금지 처분을 받았고‚ 1909년 5월부터 12월까지 발매 금지 처분을 받은 민간 주도 교과서는 모두 39종에 이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