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찬 소박물학

추천0 조회수 4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찬 소박물학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중등 교육용 동물‚ 식물‚ 광물을 다룬 생물 및 지질학 교과서의 일종이다. <목차> 第一篇. 植物學(식물학) 第一章. 植物界(식물계) 第二章. 植物(식물)의 形態(형태)와 生理(생리) 第三章. 顯花植物(현화식물) 被子植物(피자식물) 第四章. 雙子葉植物(쌍자엽식물)과 單子葉植物(단자엽식물)의 比較(비교) 第五章. 植物結論(식물결론) 第二篇. 動物學(동물학) 第一章. 動物界(동물계) 第二章. 動物(동물)의 分類(분류) 第三章. 脊椎動物(척추동물) 第四章. 節足動物(절족동물) 第五章. 軟體動物(연체동물) 第六章. ?形動物(연형동물) 第七章. 棘皮動物(극피동물) 第八章. 腔腸動物(강장동물) 第九章. 涇綿動物(해면동물) 第十章. 原?動物(원시동물) 第十一章. 動物結論(동물결론) 第三篇. ?物學(광물학) 第一章. ?物界(광물계) 第二章. ?物(광물)의 分類(분류) 第三章. 氣類(기류) 第五章. 金類(금류) 第六章. 燃?類(연광류) 第七章. 鹽?類(염광류) 第八章. 石?類(석광류) 第九章. 巖石(암석) 第十章. ?物結論(광물결론) <주요내용 및 특징> 소학교 고등과정과 중학교 예비과정 수준으로 식물학‚ 동물학‚ 광물학으로 크게 3편으로 나뉜다.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46개의 삽화가 수록되어 있으며 중요 단어나 전문 용어는 측면에 ○표시를 하거나 굵은 글자로 표시되어 있다. 국한문혼용체이다. 우리나라의 정규 학교 교육에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 간행되어 사용된 것은 1894년 이후이다.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토대가 된 신학제(新學制)가 확정되었고‚ 1894년 음력 6월 26일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설치되어 교육을 관장하였다. 이 시기의 교과서 편찬은 정부 주도의 교과서 편찬과 민간 주도의 교과서 편찬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학교가 설립되고 교육 과정이 제정됨으로써 교과서 편찬의 업무는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되었고‚ 처음부터 일본인의 직접적인 간섭 아래 진행되었다. 정부는 1895년에 학부편집국에서 《국민소학독본》과 《소학독본》을 시험적으로 출판하였으며‚ 이들 교과서는 신학제 수립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이다. 이 시기 정부 주도 하의 교과서 편찬이 식민지 교육의 하나로 추진됨에 따라 뜻있는 민간학회와 교육회 등을 중심으로 항일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부는 1908년 8월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과 1909년 5월 <출판법 규칙>을 공포하여‚ 민간주도의 교과서 중 배일사상(排日??)을 고취하거나 질서와 풍속을 문란하게 한다는 교과서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다. 그 결과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동국사략》‚ 《금수회의록》 등 8종이 국가 안녕 및 질서를 방해한다는 명목으로 발매‚ 배포 금지 처분을 받았고‚ 1909년 5월부터 12월까지 발매 금지 처분을 받은 민간 주도 교과서는 모두 39종에 이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