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동문수

추천0 조회수 101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동문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장지연(張志?:1864~1921)이 사립학교인 휘문의숙 편집부(徽文義塾 編輯部)에 있을 때 만든 중등한문 교과서이다. <주요 내용 및 특징> 서(序)에서는‚ 한문을 배우고 가르치는 데 있어 중국의 자료만을 중시하고 우리나라 선친들의 훌륭한 명문을 외면하고 있어‚ 이에 같이 편집을 맡았던 민영휘(閔泳徽)와 우리 선현들의 글 중에 정수(精粹)하고 간략(簡略)한 것들만을 뽑아 석의(釋義)를 붙여 몽학(蒙學)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서로 만들었다고 밝히고 있다. 총 93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고대 기자조선으로부터 삼한‚ 신라‚ 고구려‚ 백제‚ 고려‚ 조선 말까지 3천 년 동안의 역사 가운데 민족정신을 고양할 수 있는 글들을 모았다. 신식활자본이다. 우리나라의 정규 학교 교육에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 간행되어 사용된 것은 1894년 이후이다.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토대가 된 신학제(新學制)가 확정되었고‚ 1894년 음력 6월 26일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설치되어 교육을 관장하였다. 이 시기의 교과서 편찬은 정부 주도의 교과서 편찬과 민간 주도의 교과서 편찬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학교가 설립되고 교육 과정이 제정됨으로써 교과서 편찬의 업무는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되었고‚ 처음부터 일본인의 직접적인 간섭 아래 진행되었다. 정부는 1895년에 학부편집국에서 《국민소학독본》과 《소학독본》을 시험적으로 출판하였으며‚ 이들 교과서는 신학제 수립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이다. 이 시기 정부 주도 하의 교과서 편찬이 식민지 교육의 하나로 추진됨에 따라 뜻있는 민간학회와 교육회 등을 중심으로 항일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부는 1908년 8월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과 1909년 5월 <출판법 규칙>을 공포하여‚ 민간주도의 교과서 중 배일사상(排日??)을 고취하거나 질서와 풍속을 문란하게 한다는 교과서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다. 그 결과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동국사략》‚ 《금수회의록》 등 8종이 국가 안녕 및 질서를 방해한다는 명목으로 발매‚ 배포 금지 처분을 받았고‚ 1909년 5월부터 12월까지 발매 금지 처분을 받은 민간 주도 교과서는 모두 39종에 이른다. <목차> 朝鮮文(조선문) ?範(홍범) 箕子(기자) 1편 三韓文(삼한문) 讓百濟?書(양백제왕서) 馬韓?(마한왕) 1편 新羅文(신라문) 對馬韓?(대마한왕) 瓠公(호공) 請改正國號兼上?號(청개정국호겸상왕호) 智證?時(지증왕시) ?赦文(대사문) 文武?(문무왕) 冊高句麗?文(책고구려왕문) 遺詔(유조) 上眞平?書(상진평왕서) 金后稷(김후직) 花?戒(화왕계) 薛聰(설총) 上角干金忠?書(상각간김충공서) 祿眞(녹진) 檄黃巢書(격황소서) 崔致遠(최치원) 寒食祭陣亡將士(한식제진망장사) 代甄萱寄高句麗?書(대견훤기고구려왕서) 崔承祐(최승우) 高句麗文(고구려문) 進伐鮮卑策(진벌선비책) 扶芬?(부분노) 1편 百濟文(백제문) ?中上義慈?書(옥중상의자왕서) 成忠(성충) 1편 高麗文(고려문) 答甄萱書(답견훤서) 高麗?祖(고려태조) 平西京?捷表(평서경헌첩표) 金富軾(김부식) 三辭起復表(삼사기복표) ?師公娛賓亭記(대사공오빈정기) 李仁老(이인로) 征東軍幕上都統尙書副使侍郞書(정동군막상도통상서부사시랑서) 李?報(이규보) 桂陽自娛堂記(계양자오당기) 望涇誌(망해지) 睿宗唱和集跋尾(예종창화집발미) 命??文(명반오문) 與金履之手書(여금리지수서) 白華禪院政堂樓記(백화선원정당루기) 李齊賢(이제현) 送辛員?北上序(송신원외북상서) 原水旱(원수한) 李穀(이곡) 論辛旽?(논신돈소) 李在吾(이재오) 金涇山城記(김해산성기) 鄭?周(정몽주) 送朴中書歸覲序(송박중서귀근서) 李穡(이색) 判三司事崔公畵像贊?序(판삼사사최공화상찬병서) 雲錦樓記(운금누기) 南谷記(남곡기) 寄贈柳?菴詩卷序(기증류사암시권서) 愛?箴(애악잠) 李達哀(이달애) 題千峰詩藁後(제천봉시고후) 國朝文(국조문) 上?讓?箋(상공양왕전) ?組高皇帝(태조고황제) 賜鄭道傳書(사정도전서) 諭會寧節制使李澄?書(유회녕절제사이징옥서) 世宗(세종) 因黃涇道?疫棘城戰場?祭祭文(인황해도려역극성전장려제제문) 文宗(문종) 賜世子訓辭幷序(사세자훈사병서) 世祖(세조) 諭許琮(유허종) 成宗(성종) 下宮?書(하궁료서) 仁宗(인종) 賜七臣遣敎(사칠신견교) 宣祖(선조) 賜完豊府院君李曙書(사완풍부원군이서서) 仁祖(인조) 賜麟坪?君書(사인평대군서) 孝宗(효종) 戒酒?音(계주륜음) 肅宗(숙종) 六臣復官綸音(육신부관륜음) 訓民正音後序(훈민정음후서) 與李春坊鎭衡書(여이춘방진형서) 正祖(정조) 答??朝賀書(답홍봉조하서) 文肅公蔡濟?葬日致祭文(문숙공채제공장일치제문) 送新進士韓有文序(송신진사한유문서) 權近(권근) ?門收隱先生文集序(은문수은선생문집서) ?文圖誌(천문도지) 蜜蜂說(밀봉설) 朴判事日本行錄跋(박판사일본행록발) 李詹(이첨) 弘仁院記(홍인원기) 答田父(답전부) 鄭道傳(정도전) 佛氏禍福之辨(불씨화복지변) 百里奪論(백리해론) 尹?(윤회) 送崔注簿歸養詩序 成三問 三綱行實跋 鄭招 八駿贊拜序 李季甸 訓民正音序 鄭麟趾 送金進士序 金宗直 答南秋江書 眞逸集序 徐居正 答曹楗仲書 李滉 送林佐郞業舟師統制使從事官序 李少尹所有古畵識 贈季達序 金昌協 贈?生若昊序 送?施權澤普宰?川序 霽月堂記 用拙堂記 張維 雜述 四吾堂詩序 德水張氏家乘序 象村集序 圃隱先生集重刊序 宋時烈 遼野日出記 ?良? 映波樓重修記 諸家總論附說 朴趾源 答蒼厓 與穉圭 與人 答人 與仲存 蟬橘堂記 與仲觀 綠?館集序 <사회문화적 의의> 구국교육의 하나로 민족정신을 양양하기 위하여 편찬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