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모필화수본 남학생용 3

추천0 조회수 7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모필화수본 남학생용 3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1905년 문부성에서 발행한 국정교과서이다. <주요 내용 및 특징> 모필화 교본으로써 색칠하기 연습‚ 냄비‚ 복‚ 금붕어‚ 잠자리와 나비‚ 소년‚ 책과 안경‚ 밤‚ 의자‚ 관공‚ 다리‚ 모양 등 전 25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의 한 면에는 그림이 크고 자세하게 그려져 있고 한 면은 백지로 되어 있어 학생들이 옆의 그림을 보며 따라 그려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정규 학교 교육에 사용할 교과서가 편찬‚ 간행되어 사용된 것은 1894년 이후이다. 1894년의 갑오개혁으로 우리나라 근대 교육의 토대가 된 신학제(新學制)가 확정되었고‚ 1894년 음력 6월 26일 학무아문(學務衙門)이 설치되어 교육을 관장하였다. 이 시기의 교과서 편찬은 정부 주도의 교과서 편찬과 민간 주도의 교과서 편찬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학교가 설립되고 교육 과정이 제정됨으로써 교과서 편찬의 업무는 정부 주도 하에 진행되었고‚ 처음부터 일본인의 직접적인 간섭 아래 진행되었다. 정부는 1895년에 학부편집국에서 《국민소학독본》과 《소학독본》을 시험적으로 출판하였으며‚ 이들 교과서는 신학제 수립 이후 우리나라에서 간행된 최초의 교과서이다. 이 시기 정부 주도 하의 교과서 편찬이 식민지 교육의 하나로 추진됨에 따라 뜻있는 민간학회와 교육회 등을 중심으로 항일독립정신을 고취시키는 교과서를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학부는 1908년 8월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과 1909년 5월 <출판법 규칙>을 공포하여‚ 민간주도의 교과서 중 배일사상(排日??)을 고취하거나 질서와 풍속을 문란하게 한다는 교과서에 대해 엄격한 통제를 가하였다. 그 결과 《월남망국사》‚ 《유년필독》‚ 《동국사략》‚ 《금수회의록》 등 8종이 국가 안녕 및 질서를 방해한다는 명목으로 발매‚ 배포 금지 처분을 받았고‚ 1909년 5월부터 12월까지 발매 금지 처분을 받은 민간 주도 교과서는 모두 39종에 이른다. <목차> 凡例(범례) 注意(주의) 1圖 ボカシノ練習 2圖 ? 3圖 榮螺ト蛤 4圖 鍋 5圖 ?鼓 6圖 燕子花 7圖 金魚 8圖 ??ト蝶 9圖 ?蜀黍 10圖 蕪 11圖 桔梗 12圖 少年 13圖 本ト眼境 14圖 塵取ト? 15圖 栗 16圖 椅子 17圖 擊劒道具 18圖 ? 19圖 枯木 20圖 石燈籠 21圖 アイナメ ト赤貝 22圖 菅公 23圖 橋 24圖 模樣(富士ニ霞) 25圖 模樣(?ニ千鳥)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