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간석기

추천0 조회수 9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간석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날 부분 또는 표면 전체를 갈아 만든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에 주로 사용된 석기. <발달과정/역사> 간석기는 신석기의 유물로 생각되었으나 북서유럽·서남아시아·호주·일본 등지에서는 이미 후기 구석기시대와 중석기시대에 출현했다. 사냥과 물고기잡이를 주된 생활로 하였던 환북극문화권에서는 신석기시대에도 중석기시대의 전통인 잔석기(細石器) 및 뗀석기가 사용되었다. 이처럼 간석기는 중석기시대 이후 지역에 따라 시기적 차이를 두고 나타나기 때문에 간석기와 신석기시대를 동일시 할 수는 없다. 석기를 갈아 만드는 기술이 나타나게 된 이유는 확실하지 않으나‚ 날을 예리하게 세워야 할 필요성에서 발생한 것 같다. 농경이 시작되고 정착생활이 일반화되면서 경작지와 거주면적의 확대로 삼림을 개척하기 위한 돌도끼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나무를 가공하기 위한 자귀·끌·대패 등의 각종 목공구의 필요는 간석기 수요를 증대시켰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선부동「나」지구(地區) 제2호 지석묘(支石墓)의 제3호 하부구조 바닥면에서 출토되었다. 재질은 회백색 천매암이고‚ 상하 전면을 연마하여 흡사 손톱모양을 하고 있다. 날은 한쪽에만 둥글게 두었고‚ 상하면을 불룩하게‚ 양측면은 평평하게 처리하여 단면은 렌즈형에서 양끝을 절단한 모양이다. 정밀하게 연마된 소형석기로 손가락 사이에 쥐고 세밀하게 절단 또는 절개하던 도구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안산 선부동 지석묘발굴보고서》‚ 1991.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