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우당 유창환 예서

추천0 조회수 7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우당 유창환 예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한말의 문인이자‚ 서예가이다. <발달과정/역사> 1870(고종 7)에 태어나서 1935에 사망했다. 본관은 기계(杞溪)이고‚ 초명은 명환(明煥)‚ 자는 주백(周伯)또는 준백(準伯)이다. 호는 우당(愚堂)·육일거사(六一居士)·홍엽산방주인(紅葉山房主人)·성동초자(城東樵者) 등이 있다. 경사(經史)와 백가(百家)의 책을 익혀 문장에 통하였으며‚ 금석(金石)에도 조예가 있었다. 글씨는 각체를 두루 하였는데‚ 특히 초서가 돋보여 호건유창(豪健?暢)하였고‚ 조선총독부가 주관한 조선미술전람회에 여러 번 입선하였다. 필적으로 경상남도 사천의 〈침산정기덕비(枕山亭紀德碑)〉‚ 서울의 〈이종석송덕비(李鍾?頌德碑)〉·〈한규설묘표(韓圭卨墓表)〉 등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고경당의 현판 글씨이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김기승‚《한국서예사》‚ 대성문화사‚ 1966. 김윤영‚《한국서화인명사서》‚ 한양문화사‚ 1959. 오세창‚《국역 근역서화징》‚ 시공사‚ 199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