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조선전도

추천0 조회수 3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조선전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 후기에 활발하게 제작되었던 목판본 지도책. <발달과정/역사> 〈삼국사기〉·〈삼국유사〉 등 고문헌 또는 벽화 등을 통해 당시 지도의 윤곽을 엿볼 수 있다. 고구려는 628년(영류왕 11)에 〈봉역도(封域圖)〉라는 지도를 중국에 바쳤다는 기록이 있고‚ 신라에서도 〈신라구주군현총도(新羅九州郡縣總圖)〉 등의 지도가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현존하는 지도로서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시대 1402년(태종 2) 김사형·이무·이회 등이 제작한 세계지도인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渗一疆理歷代國都地圖)〉이다. 이 지도는 투영법이나 경·위선을 고려하지는 않았지만 마테오 리치가 17세기에 양의현람도(兩儀?覽圖)라는 세계지도를 들여오기 전까지 한국에서 사용되던 가장 훌륭한 지도였다. 한국인의 전통적인 세계관이 잘 나타난 〈천하도(?下圖)〉는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가 원으로 표현된 지도이다. 이 시대에 제작된 우리나라 지도로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이회의 〈팔도도(八道圖)〉는 보존되어 있지는 않으나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통해 그 윤곽을 짐작할 수 있다. 1463년 정척과 양성지가 제작한 〈동국지도(東國地圖)〉는 세종·세조대의 지도발달 성과가 반영된 더 정확해진 우리나라 전도였다. 양성지가 제작한 것으로 추측되는 〈동국여지승람〉의 〈팔도총도(八道總圖)〉는 전국의 유명한 산천을 중심으로 그린 간략한 지도이다. 1740년대의 실학자인 정상기가 제작한 〈동국지도(東國地圖)〉 는 최초로 축척이 표시된 지도로서 100리를 1척(尺)‚ 10리를 1촌(寸)의 측정단위로 하여 9폭의 지도첩으로 제작되었다. 제1첩은 총도이고‚ 그밖에는 주로 도별로 편집되어 있으며 산줄기·하천·해로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1834년 김정호가 편찬한 〈청구도(靑邱圖)〉는 4권으로 된 접는 책자인데‚ 1-29층에 걸쳐 두만강에서부터 제주도까지 나타내고 있다. 1861년 제작된 〈대동여지도(?東與地圖)〉는 김정호 자신이 직접 답사하여 수정·보완한 것으로 22층의 접는 책자로 만들어졌으며‚ 축척이 약 1:162‚000이다. 산과 하천을 비롯하여 성지(城池)·진보(鎭堡)·역참(驛站)·창고·봉수 등 각종 내용들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고‚ 도로를 따라 10리 간격으로 점을 찍어 지도 읽기를 돕고 있다. 지도상에 축척이 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층의 첫머리에 좌표와 매방십리(每方十理)라는 글이 표시되어 있어 실질적인 축척이 표시된 셈이며‚ 그 축척은 청구도와 같이 1:160‚000 정도이다. 〈대동여지도〉는 서양 지도학의 직접적인 영향 없이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지도학을 집대성한 것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대조선국전도(?朝鮮國全圖)‚ 한양경성도(漢陽京城圖)‚ 경성부근지도(京城附近之圖)‚ 경기도도(京畿道圖)‚ 강원도도(江原道圖)‚ 황해도도(黃涇道圖)‚ 평안도도(平安道圖)‚ 충청도도(忠?道圖)‚ 전라도도(全羅道圖)‚ 경상도도(慶尙道圖)‚ 함경도도(咸鏡道圖) 순으로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