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책장

추천0 조회수 102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책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서책과 두루마리 문서를 간직하는 가구. <발달과정/역사> 조선시대의 남성들은 사랑방에서 벗을 맞아 예(禮)를 논하고 유학(儒學)을 연구하는 풍조가 성하여 서책을 멀리 할 수 없는 생활을 하였으므로‚ 책장은 필수적인 것으로 여러 형태의 것이 형성되었다. 옛 서책은 크기가 크고 부피가 많았던 까닭에 책장의 규모도 이에 비례하여 문짝이 커지고‚ 문짝을 활짝 열기 위하여 책장 옆널 좌우에는 쥐벽칸이 따로 없이 경첩(창문이나 세간의 문짝을 다는데 쓰는 쇳조각 장식)을 문판(門板)과 기둥에 직접 부착하였다. 그리고 흔히 장롱문판 하단에서 볼 수 있는 머름칸의 공간이 없고‚ 문을 열면 바로 서책을 꺼내기 쉽도록 되어 있다. 종류로는 앞판 긴 문짝 속에 여러 개의 층널을 만들어 한눈에 위아래 층을 다 볼 수 있게 만든 것도 있고‚ 층마다 따로 문짝을 단 것이 있다. 많은 책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골재로는 단단한 참죽나무·소나무‚ 판재로는 오동나무·소나무‚ 부재로는 광택이 없는 오동나무·소나무가 많이 쓰였으며‚ 약간의 무쇠장식과 더불어 검소한 소박미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반닫이형 이층 책장으로 앞면의 앞닫이 문을 열면 내부에 이층의 바닥판이 나타나고 또 이것의 중앙부를 들어내면 일층의 내부가 보이는 구조이다. 윗면에 이마받이가 위로 솟는 천판(?板)을 대었고‚ 아래에는 개다리형의 받침대를 대었다. 주로 소나무와 오동나무를 사용하였으며 제비초리형 경첩고 초형(草形)앞바탕을 부착하였고 꺽쇠형 침대를 사용하였다. 화형의 쇠판을 부착하여 장식하였다. <참고문헌> 홍정실‚《장석과 자물쇠》‚ 대원사‚ 1998. 고려대학교박물관‚《목공예명품도록》‚ 1990.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