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문갑

추천0 조회수 29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문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안방의 보료 옆이나 창 밑에 두고 문서·편지·서류 등의 개인적인 물건이나 일상용 기물들을 보관하는 가구. 애완물을 올려놓아 감상하거나 장식하기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보통‚ 외문갑(單文匣)과 쌍문갑(雙文匣)으로 분류된다. 형태에 따라 책문갑(冊文匣 : 책상을 겸한 것)·난문갑(亂文匣 : 장식공간이 많은 것)·당문갑(唐文匣 : 花柳紋의 중국식 문갑)이라 불리며‚ 용도에 따라 여성용과 남성용으로 구분된다. 안방에서 사용되는 여성용 문갑은 꾸밈이 화려하고 재료 자체도 화려한 목재로 제작되며‚ 사랑방에서 쓰이는 남성용은 선비취향에 맞게 검소하게 꾸며진다. 일반적인 구조는 천판(?板) 양쪽에 주로 연귀짜임(귀끝을 모가 지게 엇벤 짜임)이나 맞짜임으로 결구되는 옆널이 이어지며‚ 앞면에 문짝이 달리기도 한다. 문이 있는 경우 내부에 서랍을 두기도 하며‚ 문이 없을 때는 서랍만 상하단에 두어 개구부(開口部)를 많이 설치하기도 한다. 문은 문변자(門邊子 : 문짝의 상하좌우에 이어 댄 테두리나무)를 두른 큰 앞판을 가진 두껍닫이형인데‚ 이 형식은 문갑의 특유한 형으로 상하단에 7∼10㎜ 가량의 홈이 패어 있어 위로 밀어 올리면 문이 떼어지도록 되어 있다. 재료로는 소나무·오동나무·오류목(烏柳木)·배나무·수창목(水蒼木)·먹감나무 등이 주로 쓰인다. 특히‚ 안방용으로는 화류목(樺榴木)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자개를 정교하게 세공하여 장식하기도 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폭이 좁고 얇은 판재(板材)로 짜여진 장방형(長方形)의 문갑이다. 문갑은 각종 문방구와 간단한 문서 등을 치워두기 위해 실내에 비치하는 가구이다. 이것은 조선시대 19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천판이 없는 액자형의 전면구조에 간결한 화면으로 분할되었다. 3칸과 1칸의 머름칸의 구성을 하고‚ 위의 1칸은 3개의 서랍을 두고 나뭇잎 모양의 들쇠를 달았다. 2칸과 3칸은 각각 하나의 널로 구성하고‚ 3등분하여. 1칸에 3짝의 문을 달았고‚ 위로 밀어 올리면 문이 열리도록 제작되었다. 문갑은 대개 둘을 맞붙여 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상례이나 현재 하나만이 남아있다. 느티나무의 목늬가 살아 있으며‚ 실용적이면서도 다분히 실내 공간 구성의 장식을 감안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홍정실‚《장석과 자물쇠》‚ 대원사‚ 1998. 고려대학교박물관‚《목공예명품도록》‚ 1990.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