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나한상

추천0 조회수 4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나한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나한을 조각으로 표현한 상. 좁게는 16나한·18나한·500나한상을 말하며‚ 넓게는 조사상(祖師像) 및 모든 스님 형태의 인물상을 함께 일컫기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중국에서 스님이 입적한 뒤 상을 만들어 공경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서진(西晉)의 승랑상(僧郎像)이 있다. 그 뒤 당(唐)과 오대(五代)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16나한상·500나한상 등이 제작되었다. 실제의 인물이었던 조사들과는 달리 16나한·500나한들은 다분히 설화적인 인물로 각 존상의 특징을 지니게 된다. 해학성이 높은 인간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다. ≪삼국유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에 이미 오백나한 신앙이 들어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원효(元曉)가 입멸한 뒤 그 뼈를 바수어 진흙과 섞어 대사의 모습을 만들어 공양하였으며‚ 흥륜사의 금당에 십성(十聖)을 모셨다는 기록 등이 있어‚ 일찍이 고승의 상을 만들어 전각(殿閣)에 모셨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적극적으로 나한상이 조성되고 그 존재가 확인되는 시기는 고려에 이르러서이다. 고려시대에는 통일신라 말 이래로 팽배해 온 선종(禪宗)이 더욱 유행하여 나한재(羅漢齋)·오백나한재·반승(飯僧) 등의 행사와 더불어 나한 신앙이 성행하게 되었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오백나한상이 중앙석가불·문수보살·보현보살의 좌우로 늘어 놓여 있고‚ 그 상의 뒤에 그림으로도 그려져 있음을 기록하고 있어‚ 나한상의 제작과 배치 방식을 알려 주고 있다. 조선 후기의 나한상 중에서는 특히 송광사·천은사·옥천사·통도사·백양사의 16나한상이 좋은 예이다. 이들 나한상은 단독의 석가상이나 삼존불 혹은 아난타와 가섭이 좌우에 시립한 오존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배열된다. 오른쪽(向左)에는 짝수 서열의 존자가‚ 왼쪽(向右)에는 홀수 서열의 존자가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또‚ 각 상의 뒤에는 이에 해당되는 그림(羅漢圖)이 걸려 있게 마련이다. 나한상은 대개 사찰 내에서도 독립된 전각인 나한전·응진전·영산전 등에 봉안된다. 다른 불교상과 달리 비교적 엄격한 도상법이 적용되지 않는 나한상은 자세에 있어서도 자유로워 바위에 앉거나 팔을 괴고 쉬는 자세‚ 선 자세 등으로 표현된다. 지물(持物)로는 염주·그릇(鉢)·동물·경(經)·금강저(金剛杵 : 악마를 깨뜨리는 무기)·과일 등이 나타난다. 표정도 가지각색이어서 눈을 내리뜨고 참선하는 얼굴‚ 이를 드러내고 웃거나 미소 짓는 얼굴‚ 찡그린 얼굴 등 다양한 인간의 표정을 표출하고 있다. 그래서 나한상이 지니는 이상화된 성격과 인간적인 면모를 적절히 융화시켜 매우 친근한 느낌을 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석제 나한상편(羅漢像片)이다. 신원리 구절터 건물지로 흘러내린 암석들 틈에서 산재된 기와편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두부(頭部)와 상체 일부가 상실된 나한상으로 재질은 곱돌이다. 자세는 의자에 앉아 두 다리를 가지런히 늘어뜨린 의상(倚像)으로 두 손은 무릎에 덮듯이 올렸다. 법의(法衣)는 우견편단형(右肩偏袒形)이나 양어깨와 팔에 옷 주름을 표현하고 있다. 뒷면 아랫부분을 경사지게 깎아낸 점으로 보아 본래 약간 뒤로 뉘여 안치한 듯하다. 또 목 부분에 작은 구멍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두부(頭部)를 따로 제작하여 이 구멍에 결합한 것으로 추정한다. 의자에 앉은 자세 및 허리의 홀형(笏形) 복식표현 등에서 무속적인 분위기도 느껴진다. <참고문헌> 진홍섭‚《한국의 불상》‚ 일지사‚ 1976. 문명대‚《한국조각사》‚ 열화당‚ 1980. 최완수‚《불상연구》‚ 지식산업사‚ 1984. 명지대학교박물관‚《용인 에버랜드 사업부지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200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