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대접편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대접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천리(泉里) 일대에서 수습된 백자대접편이다. <발달과정/역사> 용인지역은 고려시대에는 용구현(龍駒縣)이라는 명칭으로 불렸고‚ 조선 건국 후 도역을 조정함에 따라 용인현(龍仁縣)으로 승격되었다. 교통이 편리하고 요지(窯址)의 입지조건이 뒷받침되었던 용인은 고려 초기청자 및 조선시대의 요지가 널리 분포된 지역으로 우리나라 도자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그 가운데 용인시 이동면 천리(泉里)는 조선시대 15-16세기 백자요지로서 적동 전원주택 단지의 뒤편으로‚ 포장도로에서 계곡 쪽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밭과 임야 사이에 위치한 요지(窯址)이다. 유적은 수풀이 무성하지만 퇴적의 일부는 밭으로 개간되어 훼손되었다. 밭과 임야가 접한 경계면에 퇴적이 노출되어 있으며‚ 주변에도 다량의 백자 파편이 흩어져 있다. 백자대접‚ 발‚ 접시‚ 잔‚ 요도구 등이 발견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천리(泉里) 일대에서 수습된 유물이다. 겹쳐 구운 기물 중 2개가 들러붙어 깨진 대접의 잔편(殘片)이다. 바깥쪽의 대접은 구연이 외반하고 몸체의 기벽이 완만한 호(弧)를 그리며 굽으로 이어지는 형태이다. 굽은 죽절굽에 깎음새가 거칠고 둔중하여‚ 굽 안쪽을 얇게 깎았고 네 개의 태토비짐을 받쳐 번조하였다. 굽과 굽 주변에는 시유가 되지 않았다. 태토는 회백색으로 치밀하며‚ 유약은 담청백색으로 빙렬이 없다. 내저면에 큰 원각(圓刻)이 있고‚ 원각 안쪽에 4개의 태토비짐눈을 붙여 보다 작은 기물을 겹쳐 구웠다. 유물의 안쪽에 포개 구운 크기가 작은 대접은 저부와 동체의 일부가 남아 있다. 기본적으로 바깥쪽의 큰 대접과 동일한 기형으로‚ 죽절굽을 하고 내저면의 큰 원각을 안쪽에는 3개의 태토비짐눈이 붙어 있다. <참고문헌> 김재열 외‚《용인의 도요지》‚ 용인시 외‚ 1999.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