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갑발편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갑발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자기(瓷器)의 소성(燒成)시 기물을 안에 넣고 구워 품질을 향상을 위해 고안된 요도구(窯道具)의 일종으로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일대의 요지에서 수습되었다. <발달과정/역사> 우동리의 조선 초기 분청사기 요지군은 현재 감불과 신리 마을 주위에 있어 《세종실록》 〈지리지〉 전라도 부안군 토산조의 ‘자기소일재현남감불리품중(磁器所一在縣南甘佛里品中)’ 내용에 있는 자기소 중품 감불(磁器所 中品 甘佛)이라는 주장이 있다. 우동리 요지에서는 대호(?壺) 편병(扁甁) 등 다양한 기종의 분청사기가 만들어졌다. 문양은 상감이나 인화기법이 주로 사용되어 초기 분청사기의 특징이 두드러지며‚ 문양 종류는 어문(魚紋)‚ 모란문(牧丹紋)‚ 연화문(蓮花紋)‚ 우점문(雨點紋) 등이 주류를 이룬다. 특히 어문이나 연화문은 흑 · 백 선상감(線象嵌)으로‚ 대호 등의 모란문은 백면상감(白面象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태토가 잡물이 없이 치밀하며 유색이 좋고 문양이 정성스럽게 시문되었으면서도 소재나 시문기법이 한정되어 있어 우동리 요지(窯址)만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가마의 운영 시기는 《세종실록》 <지리지>의 기록과 분청사기 ‘정통오년(正統五年)’ 명어연문대반(銘魚蓮紋?盤) 등 여타의 분청사기 편년작과 문양의 시문기법이나 소재 등을 비교하여 대체로 1420-1450년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동리 요지 인근에는 조선 초기의 백자 요지도 있어 분청사기에서 백자로의 이행을 살펴 볼 수도 있는 중요한 요지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일대의 요지에서 수습된 갑발로 세(?)을 하고 있고 원통형이다. 물레로 성형하였고 자기질이며 구연이 외반되었다. 높이가 약 11cm의 갑발 위에는 가마벽이 들러붙은 상태이다. 지름은 26.5cm 이고 동체가 1/3가량 결실된 상태이다. <참고문헌> 정양모‚《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강경숙‚《분청사기연구》‚ 일지사‚ 1986. 한국고고미술연구소‚《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1984.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