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백화문잔

추천0 조회수 9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백화문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액체를 담는 작은 그릇을 보통 ‘잔’으로 다 칭하고 있으나 한자어로는 잔(盞)‚ 잔(彿)‚ 배(杯)‚ 배(盃)‚ 작(爵) 등을 쓰고 있으며‚ 완(燔)‚ 완(碗)‚ 완(椀)‚ 구(鵠) 등도 잔의 뜻으로 쓰일 때가 있다. <발달과정/역사> 잔(彿)‚ 배(杯)‚ 작(爵)은 각각 만든 재질의 차이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며‚ 잔(盞) 혹은 배(盃)는 불로 구운 도자기 재질을 뜻하면서 굽이 있는 잔임을 나타낸다. 나아가 어떤 쓰임새를 나타내게도 되는데 보통 작(爵)은 제례·의례용의 잔이 된다. 잔의 재질은 금‚ 은‚ 청동‚ 금동‚ 쇠‚ 구리 등의 금속‚ 옥‚ 수정‚ 곱돌(蠟石) 등의 석재‚ 흙으로 된 도기 그리고 청자‚ 백자‚ 분청자(粉靑瓷)‚ 그 밖에 나무‚ 유리‚ 칠보 등 다양하다. 오늘날에는 스테인리스‚ 합성수지 같은 인조재질도 많다. 잔은 예로부터 생활용 및 부장용(副葬用)‚ 공양‚ 의기용에 두루 쓰였다. 잔의 구성은 뚜껑의 있고 없음‚ 굽의 있고 없음‚ 손잡이의 있고 없음으로 이루어지며 그 밖에 따로 잔대(盞臺‚ 盞托‚ 托盤)가 갖추어지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도기잔이 만들어지면서 청동기‚ 초기철기‚ 원삼국시대를 거쳐 가야‚ 신라‚ 백제 및 통일신라‚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뛰어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잔이 시대적인 특징을 띠고 만들어져 공예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구연이 거의 직립에 가까운 청자잔으로 정선된 회청색 태토로 제작되었다. 기측선(器側線)은 직선에 가깝게 내려가다 동체 중간부분에서 한번 꺾어들어 낮은 죽절굽으로 연결된다. 굽은 전체를 시유한 다음 굵은 모래를 받쳐 번조하였다. 내저면(內底面) 중앙에 백화(白畵) 기법으로 꽃 한 송이를 그려 넣고 그 주위에 이중의 백상감 선을 둘렀다. 그 상단으로 백화기법으로 중심점이 생략된 꽃 세 송이와 백상감 선대(線帶)를 차례로 시문하였다. 외면의 경우 거칠게 표현된 이중의 백상감 선문(線紋)을 위아래로 배치하고 그 사이 공간에 역시 백화 기법으로 세 송이의 꽃을 시문하였다. 유색은 회녹색(灰綠色)으로 그릇 전면에 빙렬이 나타난다. 백화기법과 상감기법이 시문방식으로 함께 사용된 예로‚ 기존에는 백화기법은 상감기법에 선행하여 등장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강화도에서 발굴된 석릉(碩陵)에서 철백화(鐵白畵)기법으로 제작된 청자접시가 출토되어 13세기 전반에도 분명히 철백화기법으로 청자가 제작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 유물의 경우는 제작방식으로 보아 14세기에 제작된 청자이다. 백화(白畵)기법은 퇴화(堆花)라는 표현으로 자주 사용되나‚ 이 경우 꽃만을 시문대상으로 삼는 것은 아닐뿐더러 백토를 퇴적시키는 수법으로 문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백토를 사용하여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모든 행위를 퇴화라 표현하는 것은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그러므로 백토로 그림을 그린다는 의미는 백화라 표현하는 것이 합당하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국립문화재연구소‚《강화석릉》‚ 2003. 국립해양유물전시관‚《무안 도리포 해저유적》‚ 2003.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