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국화문팔각접시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국화문팔각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깊이가 아주 얕고 납작하여 주로 부식물을 담는 그릇으로 식기 또는 다른 식기의 받침으로 사용된다.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문화층에서 출토되고 있는 고배(高杯)가 오늘날의 접시의 조형(祖型)으로 추측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서양요리용 접시를 접시라고 지칭하지만 그전에는 가제(家祭)에서 제물을 괴는 고배형 그릇을 모두 접시라 칭하였다. 즉‚ 뚜껑이 없이 편편한 식기에 대한 총칭으로 사용된 것이다. 고려 때에는 청자로 접시를 만들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분청자기와 백자가 접시로 사용되었다. 고려시대인 10세기 후반 중국의 기술을 바탕으로 서남해안지역에 전축요(塼築窯)들이 만들어지면서 초기 청자요업이 시작된다. 11세기 중반 혹은 12세기 전반에 청자 제작은 남해안으로 이동하고 고려화 된 토축요(土築窯)를 이용‚ 급속도로 성장하여 강진(康?)과 부안(扶安) 등지에서 비색청자(翡色靑瓷)를 만들어 내었다. 또한 12세기 중반 이후로는 백토(白土)와 자토(瓷土)를 상감하여 청자유를 씌워서 굽는 상감청자(象嵌靑瓷)를 만들어 고려만의 독특한 미감을 발전시킨다. 여기에 13세기를 지나며 금채(金彩)를 가한 화금청자(畵金靑瓷)‚ 구리안료를 시유한 동화(銅畵)청자 등 기교적인 청자가 나타난다. 14세기 중반부터는 왜구의 잦은 노략질과 홍건적의 침입 등의 대외적인 요인과 더불어 권문세족들로 인한 수취체제의 모순이 안정된 기반을 요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인 청자제작을 어렵게 하였다. 여기에 상업의 발달로 인한 고려 경제의 성장은 이전 시기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던 청자에 대한 수요층을 증가시켜‚ 청자의 대량생산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질적인 하락과 동시에 많은 수의 자기가 만들어지면서 고려 시대 말기가 되면 유조(釉調) 및 작풍(作風)이 점차 저하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구연은 직립하였으며 그 끝을 각이 지게 처리하였다. 팔각의 도범(陶范)으로 찍어 낸 것으로 이중 동심원 속 화문(花紋)이 꼭지가 외곽을 향하는 여의두문(?意頭紋)으로 둘려져 내저면(內底面)에 압출양각으로 시문되었고‚ 내벽에는 국화가 각 면마다 한 송이씩 찍혀있으나 유층이 두꺼워 전반적으로 뚜렷하지 않다. 외면의 경우 각각의 면에 문양대를 나누고 그 속에 가지로 연결된 두 송이 국화를 도장으로 찍어 흑백상감 하였다. 동체는 직선을 이루며 저부로 이어져 계단식으로 굽과 연결된다. 굽 전체를 시유하고 세 곳에 규석 알갱이를 받쳐 번조하였으며 유조는 회갈색으로 어둡다. 1347년의 편년을 갖는 고려대학교박물관소장의 청자상감국화문「정해(丁亥)」명팔각접시와 제작 양상이 매우 유사하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해강도자미술관‚《고려시대 후기 간지명 상감청자》‚ 1991.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