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소병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소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가리가 좁고 목이 길며 어깨가 발달하여 몸통이 긴 기형. <발달과정/역사> 병은 삼국시대 이후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는데 도자 기형 중에서 가장 큰 발전을 하며 다양한 형태로 계속 제작되었다.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면서 종류가 다양해지고 형상의 대소와 용도에 따른 각기 독특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주로 액체를 담아서 사용하거나 보관하는 용기로서 용도에 따라 크게 주병(酒甁)‚ 장병(醬甁)‚ 유병(油甁)‚ 수병(水甁)‚ 화병(花甁)‚ 기타 용도의 병으로 나눌 수가 있다. 백자는 백토로 만든 형태 위에 장석질의 잿물을 입혀 번조하여 자화된 치밀질 순백의 반투명질 자기이다. 고려시대에는 소량의 백자가 생산되었으며‚ 조선시대는 백자의 생산이 꽃을 피우게 되는 시기라 말할 수 있다. 조선 백자는 명(明)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으며 성리학(?理學)의 유교사회(儒敎社會)의 분위기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백자의 표면색은 어느 지방의 백토인가에 따라 좌우되며 유약(釉藥)‚ 소성(燒成) 분위기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15세기 백자는 유백색이며‚ 16세기 백자는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세기에서 19세기에는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계통이라 할 수 있다. 백자의 종류에는 순백자(純白瓷)‚ 백자상감(白瓷象嵌)‚ 백자청화(白瓷靑畵)‚ 백자철화(白瓷鐵畵)‚ 백자동화(白瓷銅畵) 등이 있다. 14세기-17세기 중엽의 백자는 원만하고 유연한 기형이 주를 이루며‚ 상품의 백자는 갑발(匣鉢)에 넣고 번조되어 티 하나 없이 깨끗하다. 유약은 거의 빙렬(氷裂)이 없고 약간의 푸른기를 머금고 있다. 17세기 중엽-18세기 중엽의 백자는 유약에 아주 미량의 철분이 들어 있어 전 시기보다 더 담담한 푸른기가 돌며 태토는 순백이다. 빙렬이 있는 경우가 많고 재티가 녹아 담청‚ 담록의 작은 요점(凹占)이 있는 것도 있다. 이 시기부터 간결하고 굽이 높은 백자제기(白瓷祭器)가 생산되었으며 문방구(文房具)의 다양한 종류의 생산이 주목할 만하다. 18세기 중엽에서 조선 말기까지의 백자는 태토가 순백이며 문방구를 제외한 다른 그릇들은 기벽(器壁)이 두꺼워지고 유약도 두꺼워진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구연은 외반하고‚ 긴 경부부터 서서히 배불러진 동체는 그 최대복경을 하단에 두고 있다. 굽은 하단(下端)이 벌어지는 형태로 깎였으며 접지면이 넓은 편이다. 모래 받침 자국이 남아 있고‚ 전면에 탁한 백회색을 띠는 백자유(白瓷釉)가 시유되었고‚ 기형은 긴 `S`자형이다. <참고문헌> 박경희‚ <한국 도자 병의 형태에 따른 용도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84. 한국고고미술연구소‚《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198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