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접시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깊이가 아주 얕고 납작한 그릇. 원형이 주류를 이루며 식기 또는 다른 식기의 받침으로 사용됨.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문화기에서 출토되고 있는 고배(高杯)가 오늘날의 접시의 기원으로 추측된다. 상고시대의 고배형의 그릇은 차차 굽이 없어지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때에는 청자로‚ 조선시대에는 분청사기와 백자로 접시를 만들었다. 이전에는 가제(家祭)에서 제물을 괴는 고배형 그릇을 모두 접시라 칭했는데‚ 이를 통해 원래는 뚜껑이 없는 편편한 식기에 대한 총칭으로 접시란 명칭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서양요리용 접시를 접시라고 지칭하지만 그전에는 가제(家祭)에서 제물을 괴는 고배형 그릇을 모두 접시라 칭하였다. 즉‚ 뚜껑이 없이 편편한 식기에 대한 총칭으로 사용된 것이다. 고려 때에는 청자로 접시를 만들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분청자기와 백자가 접시로 사용되었다. 고려시대인 10세기 후반 중국의 기술을 바탕으로 서남해안지역에 전축요(塼築窯)들이 만들어지면서 초기 청자요업이 시작된다. 11세기 중반 혹은 12세기 전반에 청자 제작은 남해안으로 이동하고 고려화 된 토축요(土築窯)를 이용‚ 급속도로 성장하여 강진(康?)과 부안(扶安) 등지에서 비색청자(翡色靑瓷)를 만들어 내었다. 또한 12세기 중반 이후로는 백토(白土)와 자토(瓷土)를 상감하여 청자유를 씌워서 굽는 상감청자(象嵌靑瓷)를 만들어 고려만의 독특한 미감을 발전시킨다. 여기에 13세기를 지나며 금채(金彩)를 가한 화금청자(畵金靑瓷)‚ 구리안료를 시유한 동화(銅畵)청자 등 기교적인 청자가 나타난다. 14세기 중반부터는 왜구의 잦은 노략질과 홍건적의 침입 등의 대외적인 요인과 더불어 권문세족들로 인한 수취체제의 모순이 안정된 기반을 요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인 청자제작을 어렵게 하였다. 여기에 상업의 발달로 인한 고려 경제의 성장은 이전 시기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던 청자에 대한 수요층을 증가시켜‚ 청자의 대량생산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질적인 하락과 동시에 많은 수의 자기가 만들어지면서 고려 시대 말기가 되면 유조(釉調) 및 작풍(作風)이 점차 저하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높은 굽에서 크게 외반(?反)하는 외측선(?側線)을 지닌 접시이다. 넓은 굽은 하단이 좁아지는 형태로 접지면(接地面)은 좁은 편이다. 전면에 유약이 고르게 시유되어 맑은 발색을 보이고‚ 표면에 가는 빙렬이 나타나 있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1996.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