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국화문접시

추천0 조회수 4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국화문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자토로 그릇을 만들고 문양을 음각선으로 시문한 후 그곳에 백토(白土) 혹은 흑토(黑土)를 감입하는 기법으로 제작하여 청유(靑釉)를 시유(施釉)한 그릇. <발달과정/역사> 12세기 중반이후 고려는 상감청자라는 독특한 기법을 사용하여 크게 발전하였다. 여기에 13세기를 지나며 금채(金彩)를 가한 화금청자(畵金靑瓷)‚ 구리안료를 시유한 동화(銅畵)청자 등 기교적인 청자가 나타난다. 14세기 중반부터는 왜구의 잦은 노략질과 홍건적의 침입 등의 대외적인 요인과 더불어 권문세족들로 인한 수취체제의 모순이 안정된 기반을 요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인 청자제작을 어렵게 하였다. 여기에 상업의 발달로 인한 고려 경제의 성장은 이전 시기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던 청자에 대한 수요층을 증가시켜‚ 청자의 대량생산을 필요로 하게하였다. 질적인 하락과 동시에 많은 수의 자기가 만들어지면서 유조(釉調) 및 작풍(作風)이 점차 저하되어 고려 말기에는 그 제작 양상이 쇠미해졌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그릇의 몸체가 꺾여 구연까지 약간 사선으로 벌어지는 접시이다. 내저면에는 4줄로 백상감된 원권 안에 국화가 인화기법으로 상감되었다. 굽은 밖으로 벌어지는 죽절굽이고 굽의 안지름에 빠르게 돌린 물레흔이 나타나며 굽의 둘레가 일정치 않다. 유약은 회청색이 얇게 시유되었으며 빙렬(氷裂)이 있고 저부는 시유되지 않았다. 태토는 양호하나 기물은 둔탁하고 무겁게 만들어진 편이다. <참고문헌> 윤용이‚《한국도자사연구》‚ 문예출판사‚ 1993. 渚川巧‚ 정명호 역‚《조선도자명고》‚ 경인문화사‚ 1991. 국립중앙박물관‚《강진 용운리 발굴조사보고서》‚ 1996. 국립해양유물전시관‚《군산비안도해저유적》‚ 2004.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