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빗살무늬질그릇편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빗살무늬질그릇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겉면에 빗 같은 무늬새기개(施紋具)를 이용해 만든 기하학적인 무늬를 배합하여 각종 무늬를 그린 도기. <발달과정/역사> 한국의 빗살무늬도기는 그 기형‚ 시문 수법으로 보아 시베리아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즉 북유럽 일대에 번영한 캄케라믹(Kammkeramik:櫛紋陶器)이 동쪽으로 전파되어 시베리아를 지나 한국으로 들어왔는데 그 경로는 먼저 연해주지방에서 한반도 북동해안으로 유입되어 동해안을 따라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빗살무늬도기와 시베리아의 빗살무늬도기는 제작방법‚ 문양의 구성방법 등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며‚ 방사성 탄소연대측정치가 연해주보다 더 오래된 연대를 나타내는 점 등을 들어 한국의 빗살무늬도기의 자생설을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대체로 도기의 기형과 무늬를 보면 중서부지방의 문화는 시베리아 계통의 주민이 내몽골 발해만을 통해 대동강 하구로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이 문화가 다시 한강으로 내려가 남부지방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남부지방은 원래 살던 돋을무늬(細線隆起紋)도기의 토착민이 중서부지방과 일본 규슈(九州)지방의 교류 속에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킨 것으로 보이며‚ 북동지방은 중국 동복지방‚ 두만강 이북의 산림지대‚ 연해주지방의 주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 양상을 분명히 알 수 없는 북서지방은 신암리 등의 유적에서 출토된 도기에서 볼 때 요녕(遼寧) 및 길림(吉林) 지방과 같은 계열의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경기도(京畿道) 시흥시(?興市) 오이도 안말패총에서 수습되었다. 구연으로부터 기복까지 황주어골대문(黃走魚骨帶紋)으로 압인(押印)하였다. 3-5치(齒)의 다치구(太齒具)로 부분적으로 중복되게 시문하였다. 복원 구경이 40cm가 넘는 대형 질그릇으로 기벽이 두껍고‚ 내외면은 흑갈색(黑褐色)을 띠며‚ 태토(胎土)는 운모와 사립(砂粒)이 섞인 점토질(粘土質)이다. 문양의 방향은 좌상(左上)우하(右下)이며 5개의 편(片)을 접합하여 복원하였다. <참고문헌> 윤용이‚《우리의 옛 질그릇》‚ 대원사‚ 1999.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고고미술연구소‚《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1984.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