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독무덤

추천0 조회수 681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독무덤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시신(屍身) 또는 화장한 뼈를 담아 매장하는 데 쓰는 도기의 총칭. <발달과정/역사> 옹관은 중국 본토 · 남만주 · 한국 · 일본 등지에 널리 퍼져 있다. 중국에서는 하북성(河北省) 역현(易縣)과 요녕성(遼寧省) 요양(遼陽)지방‚ 그리고 사천성(四川省) 서안(西安) 반파(半坡)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반파의 것은 조그마한 항아리에 뚜껑을 덮어 수직으로 매장한 어린이용 옹관이다. 이처럼 독무덤의 기원은 매우 오래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주(周) · 한(漢)나라의 역사시대로 접어들면서 옹관 사용이 점점 쇠퇴 · 소멸하였고‚ 6세기의 《송서(宋書)》에는 “옹관은 동호(東胡)의 풍습”이라 쓰여 있다. 한국에서는 독무덤이 청동기시대 이래 사용되었는데‚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의 유적으로는 평안남도 강서 태성리(台城里)‚ 황해도 안악 복사리(伏?里)‚ 은율 운성리(雲城里)‚ 신천 명사리(明沙里)‚ 공주 남산리‚ 광주(光州) 신창동(新昌?)‚ 김해 회현리 · 지내동‚ 부산광역시 낙민동 동래 패총 등의 유적이 있다. 이러한 독무덤은 역사시대에 이르면 하나의 고분형식으로서 조성되었다. 역사시대의 독무덤은 근래에 많은 발굴조사가 이루어져 상당수에 달하고 있다. 신라지역에서는 경주 조양동 · 인왕동 · 황남동‚ 가야지역에서는 김해 예안리‚ 부산광역시 오륜대 · 괴정동‚ 대구광역시 복현동‚ 경산 내리리 · 임당리‚ 백제 지역에서는 부여 송국리 · 염창리‚ 서울특별시 석촌동 · 가락동‚ 남원 두락리‚ 고창 신월리‚ 공주 봉정리‚ 나주 반남면 일대‚ 영암 내동리‚ 함평 마산리 등 여러 유적지에서 발굴 조사되었다. 특히 영산강 유역의 독무덤은 다른 지방의 고분들과는 달리 독자성이 뚜렷하고 고도의 도기 제작기술이 아니면 만들 수 없는 특수한 대형의 전용(專用) 옹관을 주된 매장시설로 하고 있어 백제의 지방토착세력 및 마한 토착집단과 관련하여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독무덤이 삼국시대를 지나서도 계속 채택되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조선시대에 이르러 생활용기로 오랫동안 쓰였던 옹기로 된 소형 독무덤이 조사되기도 하여 어린아이의 주검을 매장하는 데 독무덤이 쓰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연질도기의 옹관으로 강릉에서 발견되었다고 전한다. 모양이 긴 타원형(長卵形)으로 이러한 형태의 옹관은 주로 강과 하천가에서 발견되고 있다. 점토질 태토로 성형되었고‚ 표면에 규칙적인 길이의 타날문이 시문되었으며 적갈색의 색조에 부분적으로 검은 반점이 나타난다. 독무덤은 일반적으로 항아리 모양의 도기를 사용한 호관묘‚ 옹기 모양의 도기를 사용한 옹관묘로 구분한다. 또한 한 개의 옹관을 사용하기도 하고 두 개의 옹관을 맞붙여 사용(合口式 甕棺)하거나 연결시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유물은 아가리의 형태로 보아 다른 하나를 연결하여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명지대학교박물관‚《박물관도록》‚ 1996. 한국고고미술연구소‚《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1984. 국립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사전》‚ 20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