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기병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기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아가리가 좁고 목이 길며 몸통이 긴 기형으로 주로 액체를 담는 용기. <발달과정/역사> 병은 삼국시대 이후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였는데 도자기형 중에서 가장 큰 발전을 하며 다양한 형태로 계속 제작되었다. 병은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면서 종류가 다양해지고 형상의 대소와 용도에 따른 각기 독특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용도에 따라 크게 주병(酒甁)‚ 장병(醬甁)‚ 유병(油甁)‚ 수병(水甁)‚ 화병(花甁)‚ 기타 용도의 병으로 나눌 수가 있다. 도기를 발명하게 된 정확한 동기는 아직 분명히 밝히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도자기의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인류생활의 발전과정과 생활 속에서 빚어진 순수한 미의식을 살펴볼 수가 있다. 인류가 진흙을 빚어 그릇을 만들고 이것을 불에 구워 도기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일 만년 전쯤부터이다. 사람들은 그 후 몇 천 년간 가마 없이 낮은 온도에서 산화번조로 연질도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인류의 생활이 발전함에 따라 경질도기가 필요하게 되어 원시적 연질도기를 구워 내던 상태에서 발달하여 가마가 만들어지고 점차 높은 온도에서 산화번조의 도기로 발전하고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고화도 환원번조 도기로 발전하게 된다. 도기에 회유가 시유되어 회유도기가 되며 이것이 청자와 백자로 발전하여 자기의 완성을 보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청자가 주류를 이루지만 나중에는 백자로 이행되어 지금에 이르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흑색의 경질(硬質) 도기병으로 아가리가 외반(?反)되어 있다. 목은 짧은 편이며 어깨에서부터 완만히 벌어지다가 몸통 중간에서 가장 팽창하고‚ 다시 아래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기형이다. 아가리와 목 부분에는 표면을 곱게 다듬기 위해 물레질을 하면서 물 묻은 헝겊이나 고운 가죽으로 뽑아낸 물가죽 자국이 나 있다. 기벽은 비교적 두터운 편이다. 바닥은 평저(平底)이다. <참고문헌> 박경희‚ <한국 도자 병의 형태에 따른 용도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84. 연세대학교박물관‚《고려시대 질그릇》‚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