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범자문수막새

추천0 조회수 7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범자문수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수막새는 수키와의 한쪽 끝에 원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형성된 기왓등 끝에 사용된다. 수막새는 막새와 수키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막새는 외측에 둥근 주연이 있고 내측에 여러 가지 문양이 장식되어 있는데 그 중심부에는 둥그런 자방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무늬가 장식되지 않는 위주였으나‚ 통일신라 이후에 제작된 수막새의 주연부는 주문이나 꽃무늬가 새겨져 시기적인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우리나라 수막새는 삼국시대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데 막새의 표면에는 연꽃‚ 보상화‚ 귀면‚ 금수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져 다채롭게 변화되고 있는데 연꽃무늬가 주체적인 시문 단위로 채용되고 있다. 연꽃의 형태를 일정한 형식으로 도안화한 무늬이다. 불교에서는 대자대비(?慈??)를 상징하는 연꽃이 조형화되었다. 범자문 기와는 건축에 미친 불교의 영향을 보여준다. 범자문은 대몽항쟁이 끝난 이후부터 나타나는데‚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범자문기와의 제작은 원나라로부터 전해진 라마교의 영향 아래 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고려의 범자문기와를 보면‚ 중심부에 작은 원이 있고 한 줄의 외곽선이 둘러져 있으며‚ 중심원과 외곽의 원호 사이에 몇 자의 범자가 새겨져 있다. 고려의 범자문기와에 비교적 자주 나타나는 범어의 내용으로는 ‘옴’ ‘옴마니반메훔’ 이 있다. 진언밀교에서 ‘옴’은 신성한 주어로서 법신‚ 보신‚ 화신이나 귀명‚ 공명‚ 삼신의 의미를 갖는다. 한편 ‘옴마니반메훔’은 관세음보살의 위신력으로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마침내 성불을 이루게 될 것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지산리 692-1번지와 그 일대에 위치한 선원사는 현재 사적 제 259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선원사는 고려시대에 몽골의 침입을 피해 강화도에 도읍하며‚ 당시 최고 집권자였던 최우의 원찰이자 대몽 항쟁의 정신적 지주로 삼고자 1245년에 창건되었다고 한다. 이후 선원사는 법보를 봉안한 국찰로서 또 국사를 배출한 선찰로서 발전을 거듭하였고‚ 충렬왕 때에는 임시 궁궐로 사용될 만큼 규모가 웅대했다. 그 후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선원사는 태조 7년(1398) 대장경판이 한양의 지천사로 옮겨진 후‚ 아무런 기록 없이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는 사찰이 되어 버렸다. 1976년 동국대학교 강화도 학술조사단에 의해 최초 조사되었으며‚ 강화군의 요청에 따라 동국대박물관에서 조사단을 발족하여 2001년까지 6년 동안 약 4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강화도 선원사지에서 출토된 흑회색의 경질 범자문수막새로 모래가 다소 섞여있으며‚ 표면의 양감은 약하다. 막새 표면 일부가 결실되었으며‚ 주연은 극히 일부분만이 남아있다. 막새 중앙의 자방 위치에는 반구형의 귀목문이 우뚝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가는 선으로 8엽의 연화를을 구획하고‚ 그 안에 범자문을 새겨 넣었다. 범자의 일부분이 탈락되었으며‚ 글자체 또한 정세하지 못하고 투박하다. 주연의 두께는 비교적 가늘고‚ 촘촘하게 구슬무늬를 채워 넣었으며‚ 막새 뒷면에는 수키와가 일부 남아있으며 직각을 이루고 있다. 막새 측면은 물손질 처리되었으며‚ 막새 뒷면에는 포목흔이 있으며 손누름자국과 접합기법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