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경국사 현왕도

추천0 조회수 6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경국사 현왕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화는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압축하여 묘사한 그림으로 불탑이나 불상‚ 불경 등과 함께 불교신앙의 대상이 된다. 불화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예배의 대상이 되는 그림으로 존상화‚ 부처님의 전생설화나 생애를 그린 그림‚ 불경에 나오는 교훈적인 장면을 묘사한 그림 등이며‚ 사원을 장식하는 단청의 경우도 넓은 의미의 불화에 속한다. 불화는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이지만 크게 사원을 장엄하기 위한 단청과 일반 대중에게 어려운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전달해주고자 그리는 교화용‚ 그리고 의식 때 예배하기 위한 예배용으로 나눌 수 있다. 경국사는 서울 정릉에 있는 사찰이다. 이 현왕도는 사찰 전각에 봉안되었던 것이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어서 살아생전에 지은 업에 대해 열 차례에 걸쳐 각각 다른 심판관에게 재판을 받게 된다고 한다. 이 재판을 통해 육도(六道- 천‚ 인‚ 축생‚ 지옥‚ 아귀‚ 아수라) 중 어느 생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이때 심판을 맡은 심판관을 십왕이라 부른다. 이중 다섯 번째 재판관이 바로 현왕이며‚ 염라대왕으로도 불린다. 이와 같은 내세에 대한 관심의 증폭에서 발원한 것이 염라대왕만을 단독으로 신앙하는 현왕신앙으로서 조선후기에 크게 유행하였다. 이 현왕을 주존으로 모신 것이 바로 현왕도인 것이다. 경국사 현왕도는 현왕을 중심으로 무관‚ 판관‚ 서기‚ 사자‚ 동자 등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하는 다수의 존상들로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이 인물들이 분주하게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이나 밝은 화면의 처리가 엄숙하고 경직된 기존의 이미지에서 완전히 탈피하여 재판장면을 흥미진진하고 활달하게 묘사하였다. 게다가 인물 하나하나의 형태와 표정들이 다양하며 훌륭한 데생력을 갖추고 있어 회화로서 매우 격조가 높다. 조선후기 전체 현왕도를 통틀어 몇 안 되는 훌륭한 작품이다. 보존상태도 완전하여 현재까지 전혀 흠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불화를 그린 축연이라는 화사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무렵까지 불화를 그렸던 승려인데‚ 이외에도 많은 불화작품을 남기고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