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경국사 신중도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경국사 신중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화는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압축하여 묘사한 그림으로 불탑이나 불상‚ 불경 등과 함께 불교신앙의 대상이 된다. 불화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예배의 대상이 되는 그림으로 존상화‚ 부처님의 전생설화나 생애를 그린 그림‚ 불경에 나오는 교훈적인 장면을 묘사한 그림 등이며‚ 사원을 장식하는 단청의 경우도 넓은 의미의 불화에 속한다. 불화는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이지만 크게 사원을 장엄하기 위한 단청과 일반 대중에게 어려운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전달해주고자 그리는 교화용‚ 그리고 의식 때 예배하기 위한 예배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신중도는 서울 정릉에 있는 경국사에 봉안되었던 신중도이다. 우리나라 신중도에는 재래의 신들이 많이 등장하여 특징적이다. 현재 우리나라 신중도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대예적금강신(?穢蹟金剛神)을 중심으로 왼쪽에 제석천(帝釋?)‚ 오른쪽에 대범천(?梵?)‚ 아래쪽에 동진보살(童眞菩薩)을 그려 넣고 주위에 성군(星君) · 명왕(明?) · 천녀(?女) 등을 묘사한 것이다. 둘째는 제석천과 대범천·동진보살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셋째는 대석천 ? 대범천을 중심으로 그린 탱화‚ 넷째는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그린 그림이다. 이 가운데 이 신중도는 두 번째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그린 이의 의도에 따라 도상의 배치에 변화를 주었다. 즉 화면을 사선으로 이분하여 화면의 왼쪽에는 동진보살과 신중들을 그렸고‚ 화면의 왼쪽에는 제석 ? 범천과 천동 천녀 판관 등을 그렸다. 이들을 구분하는 장치는 구름을 사이에 그려 자연스럽게 공간을 분할하였다. 이와 같이 공간을 분할한 의도는 제석 ? 범천과 동진보살의 공간상의 주처가 다름을 암시하며‚ 동시에 불교에서의 각 역할존상들의 위계를 구분한 것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