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쌍조문암막새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쌍조문암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기와는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눈과 빗물의 누수를 차단하고 이를 흘러내리게 하여 지붕을 결구하고 있는 목재의 부식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물의 경관과 치장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침수를 막는 방수성과 온‚ 습도의 기후 변화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그 본래의 기능으로 한 기본 기와와 건물의 경관을 돋보이기 위한 여러 종류의 기와들이 일찍부터 다양하게 제작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기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많은 변천을 겪으면서 계속 사용되었는데‚ 지붕에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모양이나 명칭이 각각 다르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함을 살필 수 있다. 암막새는 암키와의 한쪽 끝에 약간 위로 휜 장방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형성된 기왓골 끝에 사용되고 있다. 암막새는 막새와 암키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암막새는 외측에 네모난 주연부가 있는데 대부분 주문이 장식되고 있으며 그 내측에 덩굴과 같은 좌우 대칭형의 꽃무늬가 새겨지고 있다. 이 암막새는 통일신라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막새의 표면에는 당초‚ 보상화당초‚ 포도당초‚ 화엽당초‚ 서조‚ 기린‚ 용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지고 있는데 덩굴과 같이 의장된 당초무늬가 중심이 되고 있다. 옛날부터 사람들은 새는 천상의 영혼과 육신의 세계를 왕래하며 연락을 담당한다고 믿고 있었으며‚ 이러한 새를 묘사한 문양은 천계의 상징적 표현으로서 일종의 우주관을 보여주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서역의 영향을 받은 불교미술의 성행과 더불어 와당에 있어서는 좌우 대칭적인 구도로 도안화된 조문이 나타나며‚ 서운과 화문 등이 혼성된 것이 특징이다. 7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는 쌍조문수막새의 배치 및 구도‚ 형태 등을 살펴볼 때 크게 세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7세기 후반-8세기 전반에는 문양이 균형있게 배치되고‚ 볼륨감있게 표현되었다. 8세기 중반경부터 제작되는 쌍조문은 새의 꼬리가 몸통에 비해 크게 과장되었고‚ 문양의 양감도 얕아지며‚ 화문이 공간 비중을 많이 차지한다. 8세기 후반부터는 새의 형태가 점차 추상화 되어가며‚ 문양 구도가 복잡하게 전개된다. 따라서 통일신라 조문수막새는 초기에는 정형성을 유지하다가 후기에는 추상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충남 보령 성주사지에서 출토된 경질의 쌍조문수막새 편으로‚ 바탕흙은 갈색을 띤 흑회색이며‚ 모래가 다소 섞여 있다. 상당히 돌출된 주연부의 위‚ 아래쪽은 두 개의 굵은 선으로 구획되었고 그 안에는 구슬무늬가 채워져 있다. 막새 문양 면에는 꼬리 부분이 강조된 도식화된 조문과 도안화된 초화문이 장식되어 있으며‚ 턱 부분은 두 개의 선을 두르고 그 안에 당초문을 배치하였다. 막새 뒷면은 물손질 처리되었으며‚ 도구를 이용해 접합한 흔적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