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용 투각 장식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용 투각 장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이것은 나무를 조각하여 만든 조선시대 용 장식이다. 용은 기린·봉황·거북과 더불어 사령이라 불려온 상상의 동물이다. 용은 고대 이집트·바빌로니아·인도·중국 등 이른바 문명의 발상지 어디에서나 이미 오래 전부터 상상되어온 동물로서 신화나 전설의 중요한 제재로 등장되어왔을 뿐만 아니라‚ 민간신앙의 대상으로서도 큰 몫을 차지해왔다. 용은 어디까지나 상상의 동물이기 때문에 민족에 따라 또는 시대에 따라 그 모습이나 기능이 조금씩 달리 파악되어 왔고‚ 따라서 그 조각이나 묘사의 표현 역시 차이를 보여 왔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해온 용은 대개 일찍이 중국인들이 상상하였던 용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중국문헌인『광아』에 용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묘사해 놓았다. “용은 인충 중의 우두머리로서 그 모양은 다른 짐승들과 아홉 가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 즉 머리는 낙타와 비슷하고‚ 뿔은 사슴과‚ 눈은 토끼와‚ 귀는 소와‚ 목덜미는 뱀과‚ 배는 큰 조개와‚ 비늘은 잉어와‚ 발톱은 매와‚ 주먹은 호랑이와 비슷하다. 그 중에는 81개의 비늘이 있고‚ 그 소리는 구리로 만든 쟁반을 울리는 소리와 같고‚ 입 주위에는 긴 수염이 있고‚ 턱 밑에는 명주가 있고‚ 목 아래에는 거꾸로 박힌 비늘이 있으며‚ 머리 위에는 박산이 있다.” 이처럼 각 동물이 가지는 최고의 무기를 모두 갖춘 것으로 상상된 용은 그 조화능력이 무궁무진한 것으로 믿어져왔으며‚ 특히 물과 깊은 관계를 지닌 수신으로 신앙되어왔다. 이 투각 장식은 용을 조각한 후 채색을 한 것으로 채색이 아직까지 잘 남아 있다. 전체 모양은 반원형으로 호선 테두리에는 5개의 홈이 파여 있으며‚ 그 안에 용이 자신의 몸을 휘감은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용 아래는 적색‚ 황색‚ 흑색 등의 상서로운 구름이 있다. 용의 얼굴은 측면을 보는데 이빨을 드러낸 모습이다. 용의 몸은 검은색 비늘로 덮여 있다. 이 장식은 장엄하기 위하여 매달아 놓던 것인데‚ 정확히 어디에 매달던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장식 테두리를 따라 검은 끈이 쇠붙이로 고정되어 있으며‚ 맨 위쪽에서 2개의 매듭을 만든 후 양 쪽 끝 부분이 다시 투각 장식에 부착되어 끝에 술로 장식되어 있다. 이 끈이 바로 어딘가에 걸 수 있게 한 고리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