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해무늬암막새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해무늬암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선시대의 기와는 기능성이 강조되고 있는 반면에 장식성이나 미관성이 약화되는 전반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면 기와의 형태가 크게 변한다. 막새의 뒷면 상단에 부착된 암‚ 수막새는 직각이 아닌 둔각 상태로 암‚ 수키와가 접합되어 있어서 전통적인 기와의 제작 기법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조선시대의 막새는 그 하단부가 밑으로 늘어져 전통적인 막새형에서 벗어나고 있는데 수막새는 드림새가 밑으로 늘어져 종타원형이나 역삼각형으로 변형되어 제작되고‚ 암막새는 장방형에서 역삼각형으로 변형되고 있어서 지붕에 이어졌을 때 전대의 암‚ 수막새보다 비흘림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전반적인 기와 두께도 비교적 두꺼워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두께가 두꺼워지는 현상은 기와를 올리는 건조물과의 관계에서 지붕의 하중을 건조물 자체가 지탱할 수 있을 만큼 발전되었음을 암시한다. 조선시대의 수키와는 언강과 미구가 있는 유단식으로 대부분이 제작되었다. 또한 막새의 뒷면에는 기와를 제작할 때 사용한 마포의 흔적인 포목흔이 그대로 남아 있다. 막새에는 연꽃‚ 초화‚ 새‚ 귀면‚ 인면‚ 용 등의 여러 문양과 문자가 새겨지고 있는데 기와의 제작 수법과 함께 문양도 퇴락의 기미가 엿보인다. 그리고 암막새에는 초화‚ 귀면‚ 용 등의 무늬가 새겨지고 있으나‚ 이미 섬세함과 힘을 상실하고 있다. 숭정전 해체 과정에서 출토된 경질의 암막새로‚ 바탕흙은 회흑색을 띠고 있으며‚ 거의 완전한 모습을 갖추고 있다. 막새면과 암키와는 둔각을 이루며 접합되었으며‚ 막새면은 반달 모양이다. 주연부는 막새면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으며‚ 문양은 시문되어 있지 않다. 막새면의 상단부에는 굵은 선으로 8각형을 배치하고 그 위에 X자형으로 두 개의 굵은 선을 겹쳐놓았다. 그 주변에는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햇살 모양의 마름모꼴을 7개 둘렀다. 양감은 매우 풍부하지만‚ 문양의 새김 수법은 투박하고‚ 다소 조악하다. 막새 표면과 기와 표면은 물손질 처리되었고‚ 매끄럽게 다듬어져 있으며‚ 안쪽에는 조밀한 포목흔이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