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면와편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면와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귀면와(鬼面瓦)는 괴수와 같은 귀신의 얼굴을 입체적으로 조각한 원두방형(圓頭方形)의 기와이다. 귀면문은 기와의 문양으로도 채택되어 삼국시대부터 귀면문수막새와 내림마루용 귀면와가 제작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서는 귀면문수막새와 귀면문 암막새가 꾸준히 제작되는 가운데 건물의 내림마루와 귀마루 끝에 부착하는 귀면와가 본격적으로 제작되기 시작했다. 주름살투성이의 얼굴에는 부릅뜬 눈과 들창코‚ 그리고 길게 찢어진 입에는 혀가 나와 있고 송곳니가 날카롭게 뻗쳐 있으며 이마에는 굽은 뿔이 돋아 있는 무서운 형상이다. 귀면와는 용도에 따라 추녀가 네 귀에 있는 팔작지붕의 마루 끝에 부착되는 마루용과 귀마루 끝에 잇대어 댄 방형의 사래용으로 구분되고 있다. 마루용은 그 하단의 중심부가 반원형의 홈으로 절단되어 기와의 등 위에 얹히게 되어 있고‚ 사래용은 그 하단이 편평하게 잘려 있다. 귀면와는 부착을 위해 귀면의 미간 사이에 못을 박아 고정시킬 수 있는 못 구멍이 뚫려 있는 것과 뒷면에 C자형의 고리가 달려 있어서 철사로 동여맬 수 있는 것 등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고구려에서는 귀면문 수막새가 발견되고 있고‚ 선의 표현에는 고졸(古拙)하면서도 예리함을 나타내고 있다. 귀면와는 삼국시대에 약간씩 제작되어 사용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귀면와가 대량으로 만들어졌을 뿐 아니라 형태와 구도 면에서도 완벽한 수준에 이르게 된다. 또한 이 시기에는 유약을 칠한 녹유 귀면와가 많이 제작되고 있는데‚ 그 주연부와 측면에도 여러 가지의 문양을 배치하고 있다. 귀면와는 원래 수면(?面)을 무섭게 의장화한 것으로 악귀의 침입을 방지하려는 벽사(?邪)의 상징으로 목조 건물의 마루와 사래 끝에 장식한 것이다. 따라서 귀면은 인간을 희롱하고 해치는 잡귀신의 하나인 도깨비와 비교할 때 그 격이 다르며 의장성과 함께 특성도 서로 차이가 나고 있다. 경주 연돈빙에서 출토된 연질의 귀면와편으로‚ 바탕흙은 회백색을 띠고 있으며‚ 비교적 잘 정선되었으나‚ 가는 모래 알갱이가 섞여있다. 전체 귀면와 가운데 3분의 1가량만이 남아있으며‚ 측면이나 뒷면은 물손질 처리되었으나‚ 표면이 다소 울퉁불퉁하다. 귀면의 안면 새김수법은 전반적으로 양감이 풍부하고 정세하며 귀면을 묘사한 곡선은 매우 율동적이다. 눈은 부릅뜬 채로 높이 솟아나 있고‚ 눈덩이와 눈썹은 매우 힘 있게 표현되어 있다. 표면은 비교적 매끄럽게 다듬어져 있으며 두 눈썹 사이의 이마에는 못을 박을 수 있는 타공이 있어 사래용이었음을 알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