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준제보살도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준제보살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불화는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압축하여 묘사한 그림으로 불탑이나 불상‚ 불경 등과 함께 불교신앙의 대상이 된다. 불화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예배의 대상이 되는 그림으로 존상화‚ 부처님의 전생설화나 생애를 그린 그림‚ 불경에 나오는 교훈적인 장면을 묘사한 그림 등이며‚ 사원을 장식하는 단청의 경우도 넓은 의미의 불화에 속한다. 불화는 여러 가지 용도로 쓰이지만 크게 사원을 장엄하기 위한 단청과 일반 대중에게 어려운 불교의 교리를 알기 쉽게 전달해주고자 그리는 교화용‚ 그리고 의식 때 예배하기 위한 예배용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불화는 『칠구지불모준제경(七俱脂佛母准提經)』의 주존인 준제보살을 그린 것이다. 준제는 범어로 Candi라고 부르며 6관음의 하나이다. 청정이라는 의미로 심성의 청정함을 찬탄하는 이름이다. 특히 진언(眞言) 밀교에서는 그 덕을 찬양하여 칠구지불모라하는데 칠구지는 7억의 숫자를 의미하며 그 덕이 광대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진언은 밀교적인 용어로 다라니라고도 한다. 산스크리트문자를 번역하지 않고 그 음을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것이다. 이렇듯 그 뜻을 번역하지 않는 이유는 원문의 뜻이 번역을 함으로써 오히려 그 의미가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기도 하지만‚ 또 비밀스러운 말이라 하여 다른 사람에게 비밀로 한다는 뜻이 있다. 조선 말기로 오면 이 같은 준제보살을 칭송하는 진언이 성행하며‚ 이와 더불어 준제관음도가 많이 그려졌다. 준제보살도는 여러 개의 팔을 지닌 다비(太臂)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 불화에서의 준제보살은 파도가 일렁이는 해수면에서 솟구쳐 나온 연화좌 위에 준제보살이 가부좌를 틀고 양팔은 합장을 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보살의 각 팔에는 다양한 지물이 들려져 있다. 왼팔은 위에서 삼지창‚ 해‚ 경책‚ 연화‚ 팔찌‚ 금강저‚ 보삭‚ 보병‚ 영락이 그려져 있으며‚ 오른팔은 위에서 삼지창‚ 달‚ 비파‚ 경책‚ 화염‚ 불자‚ 염주‚ 금실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지물들은 준제보살의 수행능력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준제보살의 하단에는 중앙 대좌 바로 아래의 연꽃잎 위에는 투명 망건을 쓰고 백색 두루마기를 걸친 인물이 있는데‚ 진언을 외는 자로 보인다. 보살의 왼쪽에는 용왕이 합장을 하고 준제보살을 향하고 있다. 그 맞은편에는 동자가 연꽃잎으로 작은 배를 만들어 그 위에서 역시 합장을 하고 있다. 이같이 용왕과 동자 또는 동녀가 등장하는 것은 준제보살의 일반적인 유형이다. 색감은 맑지 못하며 불완전한 안료사용으로 얼룩이 생겼다. 묘사된 형태도 도안화되어 있어 이 불화의 시기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반에 그려졌음을 말해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