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당초문암막새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당초문암막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경주 흥륜사지에서 출토된 경질의 당초문암막새편으로 바탕흙은 회흑색을 띠고 있으며‚ 사립이 많이 섞여있다. 당초(唐草)는 원래 당풍(唐風) 또는 이국풍(異國風)의 넝쿨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당초문계의 장식요소는 민족의 조형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데‚ 각기 그 발생지역에 따라 특성을 달리하여 그 지역의 문화적 성격을 뚜렷이 보여준다. 그리스에서 태어난 당초문은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 자리를 잡은 후‚ 중국과 일본에도 전하여져 건축과 공예의 장식문양으로 폭넓게 이용되었다. 당초문은 덩굴풀과 같은 넝쿨풀이 뻗어나가는 모습을 의장화 시킨 것으로 중심이 되는 잎은 계속 굴절되고 가지 잎은 파생하여 반전되고 있는 형상이다. 당초문은 유려한 띠 모양이나 원의 좁고 긴 공간을 메우는 장식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암막새는 암키와의 한쪽 끝에 약간 위로 휜 장방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목조 건물의 지붕에 이어져 형성된 기왓골 끝에 사용되고 있다. 암막새는 막새와 암키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암막새는 외측에 네모난 주연부가 있는데 대부분 주문이 장식되고 있으며 그 내측에 덩굴과 같은 좌우 대칭형의 꽃무늬가 새겨지고 있다. 이 암막새는 통일신라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막새의 표면에는 당초‚ 보상화당초‚ 포도당초‚ 화엽당초‚ 서조‚ 기린‚ 용 등의 다양한 무늬가 새겨지고 있는데 덩굴과 같이 의장된 당초무늬가 중심이 되고 있다. 이 흥륜사지 출토 암막새 편은 주연부를 1단 돌출시켰으며 그 위에 구슬무늬가 돌출되어 장식되었다. 막새면에는 내향식의 당초문이 시문되었으며‚ 막새 뒷면에 기와가 일부 남아있다. 표면은 물손질 처리되었으며‚ 막새 안쪽은 박자로 타날해서 다듬은 흔적이 보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